제목 | 심장판막증이란?? |
---|---|
조회수 | 5678 |
심장판막의 기능
판막이 손상을 입을 경우 판막을 통해 혈류 이동이 제한을 받게되며, 판막이 닫혀야 할때 닫히지 않을 경우에는 혈류가 역류하여 혈액순환을 정상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심장이 더욱 많은 일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판막증이 심할 경우 심장효율이 떨어져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는 심부전증을 발생할 수 있고, 맥박이 불규칙해져 부정맥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심장판막증의 종류
심장판막증은 일반적으로 크게 협착증과 폐쇄 부전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판막협착이란 판막이 좁아져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판막폐쇄부전증은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의 역류가 일어나는 상태입니다. 이 두 가지 원인이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두 가지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판막증의 공통적인 증상은 심장의 효율이 떨어져 나타나는 피로감과 운동시 호흡곤란입니다. 판막증으로 인해 심장의 효율이 떨어지면 조금만 움직여도 맥박이 빨라지고, 호흡곤란이 오게 되는데, 이와 별도로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매깅 생기기도 합니다. 또한 온몸으로 혈액이 나가는 대동맥 판막이 좁아진 경우에는 현기증, 실신, 운동시 흉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판막증은 어느 정도 진행되기 전까지는 대부분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일단 증상이 나타났을 때에는 심장질환에 대한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0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02. 혈액/소변 검사 및 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03. 심장초음파, 운동부하 심초음파 등의 정밀검사 심장판막증 검사
심장판막증이 의심될 경우 확진과 정확한 이상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심장초음파 검사를 해야 합니다. 심장초음파 검사는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함으로써 판막증의 종류와 정도를 잘 확인하 룻 있어 판막증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검사입니다.
가슴편한 내과에서의 진료
- 판막질환에 대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를 통하여 최대한 본인 판막 유지 - 풍선교련절제술, 판막성형술, 판막치환술회로술 등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관리
가슴편한내과에서 판막질환, 협심증, 부정맥 등의 심장혈관질환 문제로 진료받으시는 분들은 편하게 대학병원 수준의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시면서 시술이나 수술이 꼭 필요한 경우 가장 유능한 대학병원의 의료진과 연결시켜 드리며, 시술이나 수술 후, 다시 본원에서 내과적 치료를 편하게 받으실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