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부전 검사 및 증상 |
---|---|
조회수 | 5973 |
심부전이란 심장의 구조적 기능 이상으로 신체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생기는 질환입니다. 관상동맥질환, 판막질환 등 대부분의 심장질환의 말기에 심장기능이 저하됨으로써 생기게 되며, 심부전이 생기는 원인은 심장혈관질환이 2/3을 차지할 정도로 가장 흔한 원인이며, 심장근육질환, 고혈압, 판막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심부전 증상
심부전의 대표적인 증상은 숨찬증상(호흡곤란)입니다. 계단을 오르기만 해도 과도하게 숨이 찬 증상이 지속된다면, 심부전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또한 폐혈관에 혈액이 정체되어 기침이 발생할 수 있으며,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피로감과 운동 능력 저하.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이 정체되어 부종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의 심부전 진단절차
0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 (진찰) 02. 혈액/소변 검사 및 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03. 심장초음파,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등의 정밀 검사 1. 혈액 및 소변검사
혈액 및 소변검사는 신체의 이상유무를 알아보는 가장 기본적인 내과적 검사로써 본원에서는 심장질환과 관련된 위험 예측인자 및 심장관련 특수 혈액검사 등을 시행하여 환자분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 X-ray 검사
X선을 이용하여 흉부 및 복부 등의 각 신체부위를 검사합니다. 특히 흉부 X-ray 검사는 일반내과질환 및 심장질환 검사에 가장 기본적인 검사입니다.
3. 심전도 검사
심장박동 때 일어나는 전기적 신호를 전류에 의해 파형으로 기록하여 안정 시 심장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4. 심장초음파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함으로써 심장질환의 진단, 추적관찰 및 향후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또한 심장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내과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5.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특수하게 만들어진 심전도 기록장치를 부착하고 하루동안 생활하면서 일상생활 중 심장의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의 심부전 진료
- 생활습관개선(식이요법, 운동요법)을 위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
- 심실제동기화치료 등의 시술이 필요한 경우는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관리
심장혈관전문 가슴편한내과
판막질환, 협심증, 심부전, 부정맥 등의 심장혈관질환 문제로 진료받으시는 분들은 편하게 대학병원 수준의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시면서 시술이나 수술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가장 유능한 대학병원의 의료진과 연결시켜 드립니다. 또한 시술이나 수술 후, 다시 본원에서 내과적 치료를 편하게 받으실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