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고혈압이란 무엇이고 왜 치료를 해야 하는가? |
---|---|
조회수 | 4046 |
오늘부터는 고혈압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 보려 합니다. 우선 혈압이란 무엇일까요? 혈압이란 심장이 박동할 때 혈액이 혈관을 밀어내는 힘을 말하며 흔히 “120 에 80 이다” 라는 식으로 말하게 됩니다. 여기서 앞의 숫자는 심장이 수축할 때 혈관이 받는 압력이며(수축기 혈압), 뒤의 숫자는 심장이 이완할 때 혈관에 남아있는 혈액에 의한 압력(이완기 혈압) 입니다. 그럼 고혈압은 무엇일까요? 고혈압은 정상보다 보다 높은 혈압을 말하며 기준은 세계보건기구, 유럽심장학회 등의 여러 기준이 있지만 흔히 미국기준인 JNC 7을 일반적으로 사용합니다. 아래의 표가 JNC 7의 고혈압 진단기준이며,, 수축기 혈압 혹은 이완기 혈압 중 높은 것을 기준으로 고혈압이 있다고 하는 것에 유념해주셨으면 합니다.
자, 이제 고길동씨가 관공서에 가서 민원문제로 언성을 높이다가 마침 옆에 있던 자동혈압계로 혈압을 쟀더니 150/90mmHg로 나왔다고 해봅시다. 과연 고길동씨는 고혈압일까요? 아닐까요? 정답은 고혈압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입니다. 아무 때나 잰 혈압이 위 표의 기준에 맞는다고 고혈압이 있다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감기 등 신체적인 스트레스 상황이 없는 편한 상태에서 측정하여야 하고, 혈압을 재기 전 적어도 5분 이상은 심리적, 신체적으로 안정한 상태에서 앉아서 혈압을 측정하여야 합니다. 혈압이 기준이상 일 때는 약간의 시간적 차이를 두고 다시 재보아야 하고, 혈압이 160/90mmHg 이상이 아닐 때는 서로 다른 날 2번 내지 3번을 더 재보고 평균치를 참고하여 고혈압 유무를 판단해야 합니다. 조금 복잡하지요? 고길동씨는 마음을 가라앉히고 10분 후 다시 혈압을 재보았더니 120/70mmHg 였습니다. 물론 고혈압이 아니겠지요? 오늘 저의 진료실로 나곰수씨가 혈압이 높다고 내원하셨고 기존에도 혈압이 계속 150/90mmHg 이상이고 오늘도 160/100mmHg으로 나와서 혈압치료를 하는 것이 좋겠다고 권유를 하였더니 한번 약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고 치료를 강력히 거부를 하시네요. 과연 혈압약을 먹기 시작했기 때문에 계속 먹어야 하는 걸까요? 아쉽게도 고혈압은 없어지는 병이 아닙니다. 물론 2차성 고혈압이라고 해서 원인이 있는 고혈압은 치료가 일부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고혈압은 본태성 고혈압이라고 하여 일종의 노화현상이기 때문에 (물론 다른 여러 인자가 관여하지만) 앞서 말한 기준대로 측정한 혈압이 높다면 치료를 하지 않고 정상이 될 확률을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 이제 고혈압에 대한 소개를 하였으나 다음에는 혈압측정에 관한 궁금한 사항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