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협심증의 증상 |
---|---|
조회수 | 6315 |
앞가슴이 아프거나 뻐근하게 조여드는 듯한 느낌, 불쾌감, 혹은 짓누르는 듯한 압박감이 느껴지는 심장통증을 느끼면 심장에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심장통, 즉 가슴통증을 느낄 경우 협심증을 의심 하게 됩니다.
협심증이란??
협심증이란 동맥경화와 혈전에 의해서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장 근육으로 가는 혈액량이 요구량에 미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협심증증상
1. 어디가 어떻게 아플까??
앞가슴이 아프거나 뻐근하게 조여드는 느낌, 혹은 짓누르는 듯한 압박감, 쥐어짜는 듯한, 무거운 것으로 눌리는 듯한, 터지는 듯 답답함 등으로 사람마다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심장통증은 피부와는 달리 아픈 가슴을 한 손가락으로 집어서 가리킬 수 없고, 손바닥으로 앞가슴을 덮을 만큼 넓은 부위와 둔한 통증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협심증증상은 가슴 뿐만 아니라 팔이나 목, 턱, 어깨로 뻗치는 통증으로도 나타날 수 있으며, 윗배, 등뒤 견갑골 사이, 목구멍 등에 나타나는 통증도 있어 이나 치과질환으로도 오인되기도 합니다.
2. 협심증의 통증은 얼마나 오래갈까??
심장통증은 30초에서 30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대개는 2~5분 사이로 나타납니다. 만일 몇 초 정도로 잠깐 아픈 심장통증이라면 협심증일 가능성은 떨어지며, 만약 30분 이상 통증이 지속된다면,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되었을 확률이 높으므로 가까운 응급실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3. 협심증일 때 심장통증을 느낄 수 있는 상황
1. 빨리 걷거나 뛰거나 계단을 올라갈 때 2. 무거운 것을 들 때 3. 육체적 활동을 과도하게 할 때 4. 화가 나거나 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을 때 5. 갑자기 찬바람을 쐬거나 음식을 많이 먹은 후
4. 심장통증에 대한 대처법
심장이 아파 올 때는 즉시 하던 일을 멈추고 편안한 자세로 안정을 취하면 대부분 수분내에 통증이 사라집니다. 만약 증상이 오래 지속된다면 심근경색증을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즉시 가까운 병원을 찾아 응급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협심증검사
1. 심전도 검사
심전도 검사는 심장박동 때 일어나는 전기적 신호를 전류에 의해 파형으로 기록하여 안정 시 심장상태를 확인하기 위하 검사입니다. 경제적이며,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지만 협심증의 경우 증상이 없는 안정 상태에서 검사할 경우 이상 소견이 나타ㅏ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심장초음파 검사
시망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함으로써 심장질환의 진단, 추적관찰 및 향후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협심증 환자에게는 혈액 공급이 부족한 심장 부위에 움직임이 적은 것이 관찰되기도 하고, 심근경색을 앓은 경우 심장 근육이 손상된 부위 및 남아있는 심장 기능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3. 운동부하 검사/심초음파
운동부하검사는 환자의 가슴에 심전도 전극을 부착한 후, 환자로 하여금 벨트 위에서 운동하도록 하여 혈압, 심박동 및 심전도의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로 협심증과 부정맥을 진단하고 심장병 환자의 운동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운동부하 심초음파는 운동부하검사 전후로 심장초음파를 시행하여 심근벽의 변화, 판막질환의 정도, 심장의 압력변화 등을 직접 확인하여 협심증, 판막질환, 운동시 호흡곤란에 대하여 운동부하검사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게 합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의 협심증 진단절차
0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02. 혈액/소변 검사 및 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03. 심장초음파, 운동부하 심초음파 등의 정밀검사
심혈관전문 가슴편한내과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일반내과진료도 다른 내과의원과 같이 편하게 받으시면서 심장혈관문제가 관련되었을 경우더 세밀하게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