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부정맥 원인과 검사방법 |
---|---|
조회수 | 5463 |
부정맥이란, 심장의 전기 자극이 원활히 되지 않을 경우 심장박동이 빠르거나 느리거나 또는 불규칙하게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분당 60~100회의 정상맥박이라 할 지라도, 맥박이 불규칙하다면 부정맥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심장은 수축운동을 규칙적으로 반복하는데, 이는 자발적인 전기신호로 이를 조절하게 됩니다. 이 전기신호는 동방결절에서 규칙적으로 1분에 60~100회의 전기 자극을 만들고 이 자극이 심근세포에 정상적으로 전달되면, 심장의 수축과 확장이 반복되면서 몸 전체에 필요한 혈액이 충분히 공급하게 되는 것입니다.
- 심장의 선천적인 이상 - 담배, 술, 카페인 등 - 다른 심장 질환 (심근경색, 고혈압 등) - 갑상선기능항진증 혹은 기능저하증
부정맥 환자들은 맥박수가 건너뛰거나 너무 빨라지면 자신의 심장박동을 느끼게 되고 가슴두근거림을 호소하게 됩니다. 부정맥의 종류 및 환자가 가지고 있는 심장질환의 종류와 중증도에 따라 경미한 가슴두근거림, 흉통으로부터 실신과 돌연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부정맥이 발생하면 비정상적인 심장박동으로 인해 가슴두근거림이나 덜컹거림을 느낄 수 있고, 혈액을 내보내는 심장의 능력이 저하되어 이로 인해 호흡곤란, 현기증,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내과적 검사인 혈액/소변검사, 흉부X-ray,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심전도를 통해 부정맥 진단이 가능하지만, 내원했을 당시 증상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24시간 활동성 심전도나 간헐적 심전도 검사 등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또한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알기 위해 심장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심장의 구조적 검사 : 심장초음파 부정맥 종류 검사 :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심혈관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우리 생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환자 입장에서는 마음 편하게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평소 편하게 방문하는 일반내과의 경우 심혈관질환을 잘 진료하지 못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예약도 어려우며, 막상 방문하더라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이경진 원장(의학박사)님이 직접 진료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