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갑상선기능저하증원인 & 갑상선저하증증상 |
---|---|
조회수 | 6157 |
갑상선의 역할
갑상선기능저하증은 갑상선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잘 생성되지 못해 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저하된 상태이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은 갑상선 자체에 문제가 생겨 갑상선 호르몬 생산이 줄어드는 이유와 갑상선에서 호르몬을 만들도록 하는 신호에 문제가 생겨 줄어드는 경우로 나뉜다.
- 하시모토 갑상선염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 갑상선을 제거한 경우
* 하시모토 갑상선염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 가장 흔한 갑상선의 염증성 질환으로, 전 인구의 약 2%가 가지고 있으며, 이 중 약 95%가 여성이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요소와 환경적인 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의 가장 많은 원인이다. *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하수체 혹은 시상하부가 손상을 받아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여러 호르몬 증 하나 이상이 부족하게 되는 질병이다.
- 피로, 무기력, 무관심 등의 의욕상실 - 체온이 낮아져 추위를 심하게 탐 - 입맛이 없는데도 체중이 증가함 - 얼굴이 붓고 피부가 차고 건조해짐
만성피로, 식욕부진, 체중증가, 변비, 추위 타는 것이 주요 증상이며, 주로 모호한 증상을 가진다. 그외 피부가 건조해지고, 여자의 경우 생리 주기의 변화가 생길 수 있으며, 월경 과다가 동반되기도 한다. 심하게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할 경우 혼수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어 갑상선을 자극하여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하고 방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정상수치는 병원이나 검사실의 측정 방법에 따라 약간 차이가 날 수 있지만, 보통 0.4~4.0uU/mL이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의 경우 갑상선 호르몬의 농도가 정상보다 낮게 측정된다.
갑상선기능저하증 합병증
소아의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정신지체 및 작은 키의 원인이 되어 이미 지능이 떨어진 이후에는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해주어도 지능이 회복되지 않는다. 성인은 심혈관계 합병증이나 신경학적 합병증(혼수,체온저하 및 저혈압)이 동반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