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가슴이답답하고 숨쉬기 힘들어요 |
---|---|
조회수 | 7040 |
건강한 사람들은 평소 숨을 쉬는데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힘을 쓰지 않으면 숨쉬기가 힘들거나, 고통을 느끼는 경우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합니다. 일반 인구의 약 20%나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하며, 의미있는 사망률 증가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호흡곤란이란 호흡장애라고도 말하며, 비정상적으로 불쾌한 호흡운동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환자가 주간적으로 느끼는 증상은 "숨쉬기 어렵다", "숨이 가쁘다", "조금만 걸어도 숨이 차다", "숨쉬기 불편하다" 등의 다양한 증상으로 표현됩니다.
호흡곤란은 그 원인이 다양합니다. 호흡기계 질환과 심장질환, 호흡기 근육의 약화 및 근육의 기능장애, 빈혈, 갑상선질환 등이 주요 원인질환으로 꼽힙니다. 또한 불안증후군이나 심리적인 이유로도 호흡곤란 증상이 올 수 있으며, 우울증이 있을 때도 호흡곤란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호흡곤란 증상이 있다면 일반적인 내과적 문제, 심리적인 문제 등을 종합적하여 원인을 파악하도록 해야 합니다.
증상만으로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나이와 증상, 성별, 동반된 심혈관계 위험요인, 청진기를 통한 흉부 청진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심각한 질환이 있을 가능성을 검토한 후, 검사의 범위를 정하게 됩니다.
호흡곤란은 심장질환 중 협심증, 심부전, 판막질환, 부정맥 등의 심장질환도 관련이 있는 증상이므로, 심장초음파 및 운동부하심초음파를 통해 심장의 기능을 평가해야 하며, 폐질환과도 관련있으므로 폐기능 검사를 해야 합니다.
- 폐기능 검사 : 안정시 기도로 드나드는 공기의 양, 구성성분이나 호흡에 의한 폐의 변화를 측정하여, 기관지 및 폐의 전반적인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과 고령화로 인해 심혈관질환의 사망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환자 입장에서는 마음 편하게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일반내과의 경우 심혈관질환에 대해 잘 진료하지 못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의료진에 대한 정보도 알기 힘들고, 예약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막상 방문하더라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