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가슴두근거림 증상, 원인은?? |
---|---|
조회수 | 5839 |
![]()
건강한 사람들은 평소 자신의 심장박동을 느끼지 못합니다. 하지만, 심장박동이 빠르게 느껴지거나 느린 경우, 불규칙한 경우 자신의 심장박동을 느껴 가슴두근거림 증상을 호소하게 됩니다. 이러한 가슴두근거림 증상을 심계항진이라고도 하며, 실제로 가슴두근거림을 호소하는 환자분들은 꿀렁거리는 느낌, 심장이 빠르다는 느낌, 심장이 느리다는 느낌, 심장이 엇박자로 뛰는 느낌 등의 다양한 증상으로 표현됩니다.
일반적으로 화를 내거나 다른 사람들 앞에서 발표를 할 때처럼 긴장되는 상황에서는 가슴두근거림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이 일시적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증상의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가슴두근거림 증상은 심장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으며, 다른 장기에 문제가 생겨 심장이 이차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불안 등의 심리적인 원인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내과적 검사와 심장 검사, 심리적인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여러 심혈관질환 중, 가슴두근거림 증상과 가장 관련있는 질환은 바로 부정맥입니다. 부정맥은 심장이 불규칙한 질환을 말하며, 부정맥 환자들의 경우 맥박수가 빠르거나, 느려 자신의 심장박동을 느끼게 됩니다. 분당 60~100회의 정상맥박일지라도 맥박이 불규칙하다면 부정맥을 의심해야 합니다.
심장이 천천히 뛰면 신체 각 부위에 혈액을 원활하게 보낼 수 없어 어지럽거나 힘이 없거나 정신을 잃을 수 있습니다. 반면 심장이 빨리 뛰어도 심장이 충분히 강하게 수축할 수 없어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심실성 부정맥의 경우 심근경색증이 한 번 발생한 후, 심장 근육 경련이나 돌연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가슴두근거림 증상을 느꼈을 경우 실제로 부정맥이 존재하는지 심장의 구조적 이상이 동반되는지를 검사를 통해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가슴두근거림 증상으로 인해 부정맥이 의심될 경우 심장의 전기적 신호의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심전도 검사를 하게 되며, 심장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심장초음파 검사를 하게 됩니다.
- 부정맥에 대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 - 인공심박동기 시술이 필요한 경우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인공심박동기 관리
일반내과의 경우 심혈관질환 증상이 의심될 경우 바로 상급의료기관으로의 전원이 필요하지만,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심혈관질환이 관련되었을 경우 대학병원 수준의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