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정맥증상 & 부정맥치료
심장은 몸 전체에 필요한 혈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주는 펌프 역할을 하는 중요한 부위이다. 심장은 수축운동을 규칙적으로 반복하는데, 이는 자발적인 전기신호로 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 전기신호는 동방결절에서 규칙적으로 1분에 60~100회의 전기자극을 만들고 이 자극이 심근세포에 정상적으로 전달되면 심장의 수축과 확장이 반복되면서 몸 전체에 필요한 혈액이 충분히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부정맥이란?
부정맥이란 심장에서 전기 자극이 잘 만들어지지 못하거나, 자극의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규칙적인 수축이 계속되지 못하여 심장 박동이 빨라지거나 늦어지거나 혹은 불규칙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부정맥원인
- 심장의 선천적인 이상
- 담배, 술, 카페인 등
- 다른 심장 질환 (심근경색, 고혈압 등)
- 갑상선기능항진증 혹은 기능저하증
부정맥증상
심장은 늘 뜨고 있지만 평소에 건강한 정상인은 이를 느끼지 못한다. 하지만 부정맥 환자들의 경우 맥박수가 건너뛰거나 너무 빨라져 자신의 심장박동을 느끼게 되고, 가슴 두근거림을 호소하게 된다.
부정맥의 종류와 환자가 가지고 있는 심장질환의 종류와 중증도에 따라 경미한 가슴두근거림, 흉통으로부터 실신과 돌연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부정맥이 발생하게 되면 비정상적인 신장 박동이 두근거림이나 덜컹거림으로 불쾌하게 느낄 수 있고, 혈액을 박출하는 심장 능력이 저하되면서 뿜어져 나오는 혈액량이 감소하여 호흡곤란, 현기증, 실신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심실 무수축, 심실빈맥, 심실세동과 같은 악성 부정맥이 발생할 경우 순간적으로 심장 기능이 마비되어 곧바로 심장마비로 사망할 수도 있다.
부정맥 진단 및 검사
부정맥이 의심될 경우 가능한 빨리 병원을 방문하여 진단을 해보아야 한다. 증상과 심장의 전기적 신호의 이상이 관련이 있는 것인지 확인해야 하며, 이는 대체로 증상이 나타날 때의 심전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병원을 방문했을 시 증상이 없어지기 때문에 24시간 심전도 등 다른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을 하게 된다.
부정맥 진단을 위한 검사
- 심전도
- 24시간 심전도 검사
-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 기립경 검사
- 심초음파
- 전기생리학적 검사
부정맥치료
부정맥치료는 부정맥의 종류나 중증도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으며, 보통 다음과 가은 치료를 시행한다.
1. 부정맥의 원인 교정
2. 약물치료
3. 제세동기, 삽입형 제세동기
4. 인공 심박동기
5. 전기도자 절제술
6. 외과적 절제술
7. 항혈소판제, 항응고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