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부정맥 증상은?? |
---|---|
조회수 | 6913 |
심장은 하루에 10만번 이상 수축과 이완 운동을 통해 우리 몸에 필요한 핼액을 공급합니다. 심장근육 세포에 전기 자극이 가해지면 심장이 수축운동을 규칙적으로 반복하게 되며, 이러한 운동은 자발적인 전기신호로 조절을 하게 됩니다. 이는 심장이 수축과 이완 운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문제가 생긴다면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정맥은 심장의 전기 자극이 원활히 되지 않을 경우 심장박동이 빠르거나 느리거나 또는 불규칙하게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분당 60~100회의 정상맥박이라 할 지라도, 맥박이 불규칙하다면 부정맥을 의심해야 합니다.
심장이 빠르거나 느리거나 또는 불규칙할 경우 심장에서 원활하게 내려가지 못한 혈액이 혈전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혈전이 떨어져 나와 뇌혈관을 막으면 뇌졸중을 발생할 수 있으며, 추운 날씨에는 심장마비로 급사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부정맥의 대표적인 증상은 바로 가슴두근거림입니다. 건강한 사람들은 평소 자신의 심장박동을 느끼지 못하지만, 부정맥 환자들은 비정상적인 심장박동으로 인해 가슴두근거림 현상을 호소하게 되며, 가슴이 쿵하고 내려앉는 느낌이나 심장이 갑자기 멈추는 듯한 느낌, 심장이 빠르거나 느린 느낌 등 다양한 증상으로 표현됩니다. 가슴두근거림 증상을 느꼈따면 심장질환에 의한 여부를 가려내야 하며, 심장질환이 원인이라면 실제로 부정맥이 존재하는지, 심장의 구조적 이상이 동반되어 있는지를 검사를 통해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심장부정맥의 원인은 심장의 전기적 신호의 발생과 전달에 이상이 생기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유발 요인은 심장의 선천적인 이상, 담배, 술, 카페인 등, 심근경색, 고혈압등의 다른 심장질환, 갑상선 기능항진증 등이 있습니다. 부정맥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내과적 검사(혈액/소변검사, 흉부X-ray, 심전도 검사 등)와 함께 심장의 구조적인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심장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내원 당시 증상이 있을 경우 2~3초 간의 심장의 전기적 신호를 확인하는 심전도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지만, 내원했을 당시 증상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24시간 활동성 심전도나 간헐적 심전도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부정맥에 대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 √ 인공심박동기 시술이 필요한 경우 선별하여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인공심박동기 관리 심혈관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어 심혈관질환의 조기진단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심혈관질환이 걱정되어도 환자입장에서는 마음 편하게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일반내과의 경우 심혈관질환을 잘 진료하지 못 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예약도 어려우며 막상 방문하더라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이경진 원장(의학박사)님이 직접 진료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