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당뇨병원인, 당뇨병증상, 당뇨수치표 |
---|---|
조회수 | 5409 |
우리나라 성인의 약 8%가 당뇨를 가지고 있으며, 아직 진단되지 않은 사람을 포함하면 10%가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중 혈당이 목표 수치에 맞게 조절되는 경우는 3분의 1밖에 안된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당뇨병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치료를 안해도 큰 불편을 못느껴 소홀히 하는 경우, 혈당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몸 안에서는 서서히 변화가 일어나 당노병 발생 후 5~15년이 지나면 합병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당뇨병은 몸 안엥서 인슐린이 부족하게 되면 급성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40세 이상이거나, 30세 이상이면서 아래와 같은 위험인자가 있을 경우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매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의 원인 (당뇨병 위험인자)
- 과체중 (체질량지수 23kg/m2) - 직계 가족 (부모, 형제자매)에 당뇨병이 있는 경우 -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의 과거력 - 임신성 당뇨병이나 4kg이상의 거대아 출산력 - 고혈압 (140/90 mmHg 이상, 또는 약제 복용) - HDL 콜레스테롤 35 mg/dL 미만 혹은 중성지방 250mg/dL 이상 - 인슐린저항성 (다낭난소증후군, 흑색가지세포증 등) - 심혈관질환 (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등) 당뇨병의 진단 (당뇨수치표) 당뇨병증상
약한 고혈당에 경우 증상을 느끼지 못하거나 모호하여 당뇨병이라고 의심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혈당이 많이 올라가게 되면 갈증이 많이 나서 물을 만힝 마시게 되고, 소변량이 늘어 화장실을 자주가게 됩니다. 또한 이유를 알 수 없는 체중감소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혈관전문내과 "가슴편한내과"
당뇨병의 합병증은 여러 곳에서 발생하지만 특히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마비와 같은 심혈관질환과 뇌졸중, 뇌출혈 같은 뇌혈관질환이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합병증입니다. 당뇨병은 합병증 및 사망원인 중 대부분 심장혈관질환에 의한 것이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당뇨를 혈관질환으로 간주하고 치료하는 것이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는 당뇨의 전단계인 대사증후군, 당뇨 등을 심혈관질환의 관점으로 관심을 갖고 진단, 치료함으로써 심혈관질환의 예방, 조기 진단 및 조기 치료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