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이 아파요, 심장통증 원인은?? |
---|---|
조회수 | 5071 |
가슴 부위에 심장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관들이 있으므로, 심장이 아픈 원인 또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올 수 있습니다. 심장통증을 가진 환자들의 실제 원인질환을 살펴보면 대부분 위장관질환이 차지하지만, 협심증 및 심근경색 등의 심장질환도 그 다음으로 원인질환이므로 심장질환에 의한 증상 여부를 놓쳐서는 안됩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내과적 검사 외에도 심장질환에 대한 검사를 통해 정환한 진단 및 치료를 해야 합니다.
고연령이거나,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의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 심혈관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담배를 피우는 경우라면 협심증 및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질환으로 오는 가슴통증일 확률이 높아집니다.
심장통증이 심혈관질환과 연관성을 생각해보아야 하는 이유는, 심혈관질환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협심증과 심근경색 등에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 심장통증이기 때문입니다.
협심증은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 혈관이 좁아져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협심증 증상은 주로 운동시에 발생하며, 심장통증이 갑자기 오며, 2~3분에서 15분 정도 지속됩니다.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사라지며, 30분 이상 통증이 지속될 경우 심근경색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증의 증상은 협심증보다 비슷하지만, 심장통증의 강도가 더욱 강해 당장이라도 죽을 것 같은 불안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심근경색증의 경우 약 20%의 환자는 통증을 못느끼는 경우도 있으며 실신, 호흡곤란, 창백한 피부, 발한과 같은 쇼크 증상만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당뇨병이 있거나 노인일 경우 흔하게 나타납니다. 심근경색증의 사망률은 15~20%에 이르는 무서운 질환이며, 심근경색으로 사망한 사람 중 절반 이상이 증상이 나타난지 한 시간만에 사망할 정도로 급사의 위험도가 매우 높으므로, 증상이 있을 경우 조기 진단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2. 혈액/소변검사, 및 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3. 심장초음파, 운동부하 심초음파 등의 정밀검사
최근, 각종 암 및 뇌혈관질환 다음으로 심혈관질환이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심혈관질환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인 심장통증이 걱정되어도, 환자입장에서는 편하게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일반내과의 경우 심혈관질환에 대해 잘 진료하지 못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예약도 어려우며,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