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왼쪽 가슴통증과 가슴두근거림 증상 | ||||||||||||
---|---|---|---|---|---|---|---|---|---|---|---|---|---|
조회수 | 4944 | ||||||||||||
심장질환은 우리 생명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심장이 보내는 이상신호를 무심코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장질환의 가장 중요한 증상으로는 가슴통증과 가슴두근거림,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이 발생했을 경우 심장질환에 의한 신호인지 검사를 통해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A. 가슴부위에는 심장 뿐만 아니라 허파, 상복부 갈비뼈, 식도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가슴통증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슴통증을 호소하며 내원하신 실제 환자분들을 살펴보면 위장관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중대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협심증 및 심근경색 등의 심장질환 또한 그 다음으로 많은 원인이므로 심장질환에 의한 증상일 가능성도 놓쳐서는 안됩니다.
▣ 협심증에 의한 가슴통증 유형
√ 심장을 쥐어짜는 듯이 아프다 √ 고춧가루를 뿌린 듯 쓰리다 √ 무거운 돌을 얹은 듯 아프다 √ 저릿저릿하게 퍼지듯 아프다
▣ 심근경색에 의한 가슴통증 유형
가슴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될 경우 심근경색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막히면서 심장근육이 죽는 상태를 말하며, 심장근육으로 산소와 영양분이 단절되면서 그 부분의 심장 수축력이 저하되고, 수 분내지 수십분 이내에 심장근육이 죽게 됩니다. 심근경색의 위치 및 증상은 협심증 증상과 유사하지만 강도는 협심증보다 더 강하여 대부분 당장 죽을 것 같은 공포감이나 심한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이 10분 이상 지속될 경우 가까운 병원을 찾아 응급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A. 일반적으로 화가나거나 많은 사람들 앞에서 발표할 때처럼 긴장되는 상황에서는 누구나 가슴두근거림을 느낄 수 있지만, 이런 증상이 일시적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불편감이나 불안감을 호소하게 됩니다. 가슴두근거림 증상은 심장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그 외의 내과적 질환으로 인해서 심장이 이차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으며, 불안 등의 심리적인 원인에서 올 수 있습니다. 가슴두근거림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심장질환이 원인인지 여부를 가려내는 것이고, 심장질환이 원인이라면 실제로 부정맥이 존재하는지, 심장의 구조적 이상이 동반되는지를 검시해보아야 합니다.
▣ 가슴두근거림 증상과 부정맥의 종류
A. 증상만으로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나이와 성별, 심혈관계 위험인자 여부 등을 고려하여 심장질환에 의한 증상인지 여부를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심혈관질환의 가능성이 낮을 경우에는 혈액/소변검사, 흉부X-ray, 심전도 등과 같은 간단한 검사를 시행하며, 심혈관질환의 가능성이 높을 경우에는 이 외에 심장초음파 검사와 운동부하심초음파 검사와 같은 정밀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가슴통증과 가슴두근거림 증상 등의 심혈관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증상으로 많은 분들이 내과 검사를 받고 계시지만, 일반내과의 경우 심혈관질환에 대한 정확한 검사 및 평가가 어려워 조기진단 및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심장질환은 무조건 대학병원을 가야한다는 생각에 비싼 의료비를 감당하고도 만족스러운 관리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