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와 관상동맥질환 종류 |
---|---|
조회수 | 5736 |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와 관상동맥질환 종류 심장은 수축과 이완운동으로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심장에 영양을 공급해주는 동맥을 관상동맥이라고 하며, 관상동맥의 크기는 심장이 필요로 하는 혈액의 양에 따라 관상동맥의 크기 역시 변할 수 있어야 합니다.
관상동맥질환이란, 관상동맥 혈관이 좁아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휴식을 취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적은 혈류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운동을 하거나 흥분을 하는 경우 휴식을 취할 때보다 몇 배가 넘는 혈액이 필요하게 되므로, 관상동맥이 좁아졌을 경우 필요한 만큼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지 못해 피가 부족한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이런 경우를 협심증이라고 하며, 관상동맥이 막힐 경우 심장 근육의 일부가 손상을 입어 나타나는 심근경색증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관상동맥 질환의 발병의 가장 큰 원인은 동맥경화입니다. 동맥경화라는 것은 파이프에 맑지 않은 찌꺼기들이 많은 것이 흐르면, 파이프에 찌꺼기들이 끼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혈관 안에 지저분한 것들이 끼고, 그것들에 의해 혈관이 좁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관상동맥질환 원인의 대부분은 동맥경화로 인한 관상동맥 협착이며, 동맥경화의 위험인자로는 흡연,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고령, 심혈관질환의 가족력 등이 있습니다.
- 협심증 :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장근육으로 가는 혈액량이 부족한 상태가 되어 가슴통증을 느끼게 되는 질환입니다. 휴식을 취하면 심장이 요구하는 혈액량이 감소하여 증상이 사라지게 되며, 증상이 30분 이상 지속될 경우 심근경색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빠른 시간 안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협심증은 동맥경화증, 부정맥, 빈혈, 심장판막질환, 혈압이 갑자기 떨어지는 등의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여러 상황에 의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심근경색증 :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 혈관이 막혀 심장 근육이 죽는 상태를 말합니다. 관상동맥이 막히면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단절되고, 수분 내지 수십분 이내에 심장근육이 죽게 됩니다. 심근경색의 사망률은 15~20%에 이를 정도로 매우 위험한 질환이며, 심근경색으로 사망한 사람의 절반 이상이 증상이 나타난지 한 시간 이내에 사망할 정도로 급사의 위험도가 매우 높은 질환입니다.
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2. 혈액/소변 검사 및 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3. 심장초음파, 운동부하 심초음파 등의 정밀검사
심장과 혈관에 관련된 질환으로 사망한 수가 암 및 뇌혈관질환 다음을 차지하면서, 우리나라의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인구의 노령화, 식생활의 서구화, 경제 성장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심혈관질환의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심혈관질환이 걱정되어도 환자 입장에서는 편하게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일반내과의 경우 심혈관질환 진료를 잘 못 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예약도 어려우며, 방문하더라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