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가슴두근거림 현상, 가슴두근거림 원인은?? |
---|---|
조회수 | 7069 |
가슴두근거림 현상, 가슴두근거림 원인은?? 평소 건강한 사람들은 자신의 심장박동을 느끼지 못하지만, 심장박동이 빠르게 느껴지거나 느린 경우, 불규칙한 경우 자신의 심장박동을 느껴 불편감 또는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을 가슴두근거림 또는 심계항진이라고 하며, 실제로 가슴두근거림을 호소하는 환자분들은 꿀렁거리는 느낌, 심장이 엇박자로 뛰는 느낌, 심장이 빠르다는 느낌, 느리다는 느낌 등의 증상으로 표현됩니다.
가슴두근거림 현상의 원인은 심장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그 외 다른 장기에 문제가 생겨 심장이 이차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도한 불안 등의 심리적인 원인에 의해서도 가슴두근거림 현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내과적 검사와 함께 심리적인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여러 심혈관질환 중, 가슴두근거림 증상과 가장 관련이 있는 질환은 바로 부정맥입니다. 부정맥이란, 심장박동이 불규칙한 질환을 말하며, 부정맥 환자들의 경우 맥박수가 너무 빠르거나, 느리거나, 불규칙하여 자신의 심장박동을 느끼게 됩니다. 부정맥이 생겼을 경우 비정상적인 심장박동에 의해 가슴두근거림 또는 덜컹거림을 느낄 수 있으며, 심장 기능이 저하되어 현기증이나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슴두근거림이 부정맥에 의한 증상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심장의 전기적 신호의 이상과 관련이 있는지, 만약, 실제로 부정맥이 존재한다면 어떤 종류의 부정맥인지 검사를 통해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가슴두근거림 현상의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내과적 검사와 함께 심장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심장의 구조적인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심장초음파를 실시하며, 부정맥의 종류에 대해 검사하기 위해서는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및 간헐적 심전도 검사가 필요하게 됩니다. 증상이 나타났을 때에는 2~3초 간의 심장의 전기적 신호를 확인할 수 있는 심전도 검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병원을 방문했을 당시에는 증상이 없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24시간 심전도 등의 다른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파란색으로 되어진 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검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내과적 검사 : 기본혈액소변검사, 심장기능 혈액 검사, 흉부 X선 사진, 심전도, 체성분 분석 검사 심장의 구조적 검사 : 심장초음파 부정맥 종류 검사 :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많은 환자분들이 가슴통증, 가슴두근거림, 호흡곤란, 어지러움 및 실신 등과 같은 심장질환 의심 증상으로 내과적 진찰 및 검사를 받고 계십니다. 하지만, 심장질환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일반내과에서는 받기 어려워 심장질환에 대한 조기진단 및 치료시기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대학병원은 예약도 어려우며, 의료진에 대한 정보도 알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막상 방문하여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마음 편하게 가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