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통증, 협심증 증상일까?? |
---|---|
조회수 | 5426 |
심장통증, 협심증 증상일까?? 심장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분들은 가슴을 짓누르는 느낌, 타는 듯한 느낌, 따끔거림 등은 심장통증 증상을 호소하십니다. 이러한 증상이 있을 경우 가장 먼저 심장질환이 아닐까 걱정을 하게 됩니다. 심장은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중요한 기관으로, 심장통증 증상이 발생하고 1시간 안에 사망하는 돌연사 역시 심장질환이 원인인 경우가 많으므로, 증상을 느꼈다면 심장질환에 의한 증상인지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가슴 부위에는 심장 뿐만 아니라 식도, 상복부 갈비뼈, 허파 등이 있어 심장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슴 부위의 통증의 원인으로는 위장관 질환이 가장 많이 차지하지만, 협심증 및 심근경색 등의 생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심장질환 또한 그 다음으로 많은 원인을 차지하므로, 심장질환에 의한 증상인지 검사를 통해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협심증이란 심장으로 혈액을 공급해주는 관상동맥 혈관이 좁아져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협심증의 가장 주요 증상은 심장통증으로, 심장통증이 있을 경우 협심증을 의심하게 됩니다.
협심증의 증상은 평소 안정을 취할 때에는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못하다가 운동을 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등의 심장이 많은 일을 해야 할 때 심장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협심증 환자들도 안정을 취할 때에는 어느 정도 심장으로 혈액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취하면 증상이 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증상이 30분 이상 지속될 경우 심근경색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빠른 시간 안에 가까운 응급실을 찾아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1. 빨리 걷거나 뛰거나 계단을 올라갈 때 2. 육체적 활동을 과도하게 할 때 3. 무거운 것을 들 때 4. 화가 나거나 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을 때 5. 갑자기 찬바람을 쐬거나 음식을 많이 먹은 후
1. 나이가 많은 경우 2. 혈압이 높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는 경우 3. 흡연을 하는 경우 4. 당뇨가 있는 경우 5. 부모 형제 중 허혈성 심장질환을 앓은 경우 6. 비만이거나 운동부족인 경우
가슴이 아프다고 모두 협심증은 아닙니다.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하기 어려우므로, 우선 직접 내원하셔서 진료를 받으시고 어떤 검사를 필요한지 결정해야 합니다. 심혈관질환의 가능성이 낮을 경우에는 간단한 X-ray 및 심전도 검사만 시행하게 되며, 심혈관질환의 가능성이 높을 경우에는 심장초음파 및 운동부하심초음파 등의 정밀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가슴통증에 검사방법을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클릭
최근 심혈관질환이 각종 암 및 뇌혈관질환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환자분들 입장에서 편하게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평소 쉽게 방문하는 일반내과의 경우 심장질환에 대해 잘 진료하지 못 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의료진에 대한 정보도 알기 힘들고, 예약도 어려우며, 막상 방문해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