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근증] 비후성 심근증, 확장성 심근증 |
---|---|
조회수 | 6601 |
[심근증] 비후성 심근증, 확장성 심근증
심근증이란 선천성 심장질환, 판막질환,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 등의 다른 심장질환 없이, 심장근육에 이상이 발생하는 여러 질환군을 말합니다. 심근증은 심장근육이 늘어나거나, 비정상적으로 두꺼워 지거나 혹은 지방침착 등이 일어나게 됩니다. 심근증이 있을 경우 호흡곤란, 흉통, 가슴두근거림이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심근증의 종류 및 원인
심근증은 원인을 밝힐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대개 그 형태적인 특징에 따라 비후성, 확장성, 제한성 심근증 세 가지로 나뉩니다. 이 세가지 형태 중 두 가지가 한꺼번에 나타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나타날 수 도 있습니다. 2. 확장성 심근증 : 좌심실이 확장되면서 심장의 수축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를 원발성 확장성 심근병증이라고 하고, 원인이 있는 경우를 속발성 확장성 심근병증이라고 합니다. 원발성의 심근증의 경우는 약 3~50%에서 유전적 변이가 증명되는데, 이는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은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속발성의 경우는 여러 가지 원인이 가능한데, 흔한 원인으로는 관상동맥 질환, 고혈압, 판막 질환, 바이러스성, 유전성이 있고, 그 외 지속적인 과임 임신, 지속적인 빠른 맥박(부정맥), 갑상선 질환, 쾈인 중독 등이 심근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제한적 심근병증 : 좌심실벽이 두꺼워지면서 주로 좌심실의 이완기 충만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파란색 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검사방법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2. 기본 혈액검사 및 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3. 심장관련 혈액검사, 심장초음파,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등의 정밀 검사 심혈관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심혈관질환이 걱정되어도 마땅히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일반내과의 경우 심혈관질환에 대해 잘 진료하지 못 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예약도 어려우며 막상 방문하더라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