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협심증초기증상, 협심증검사 |
---|---|
조회수 | 5380 |
협심증초기증상, 협심증검사
심장은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중요한 부위입니다. 이러한 심장은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이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혈관의 지름이 좁아지게 될 경우 심장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영향을 받게 됩니다.
협심증이란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 혈관이 좁아질 경우 심장 근육으로 원활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협심증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급성 심근경색 등을 유발하여 돌연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협심증의 발병 원인은 동맥경화 입니다. 동맥경화란 파이프에 맑지 않은 찌꺼기들이 많은 것이 흐르면, 파이프에 찌꺼기들이 끼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혈관 안에 지저분한 것들이 끼고, 그런것들에 의해서 혈관이 좁아지는 것을 동맥경화라고 합니다. 1. 나이가 많은 경우
협심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바로 가슴통증입니다. 대개 "가슴이 쥐어짠다", "가슴이 싸한 느낌"을 호소하며, 주로 가슴의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협심증 증상은 걷거나 계단을 올라갈 때, 언덕을 오르거나 물건을 들 때와 같이 심장이 더 많은 일을 해야 할 때 가슴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통증이 있던 환자가 활동을 멈추고 안정을 취하게 되면 가슴통증은 사라지게 됩니다.
계단을 올라가거나 물건을 들 때와 같이 심장이 더 많은 일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심장의 필요한 혈액의 양이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협심증 환자의 경우 관상동맥 혈관이 좁아져 있으므로 혈액공급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심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심장이 필요로 하는 양보다 부족할 경우 가슴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안정을 취하면 어느 정도 심장근육에 혈액이 공급되기 대문에 가슴통증이 사라지게 되지만, 관상동맥의 협착 정도가 아주 심하거나 급성으로 혈전이 생기는 경우 휴식을 취해도 가슴통증을 느낄 수 있고, 가슴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된다면 심근경색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니 즉시 가까운 응급실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파란색으로 되어진 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검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4. 운동부하심초음파
많은 환자분들이 심장질환이 의심되는 증상으로 일반내과 진료를 받고 계시지만, 일반내과에서는 심장질환의 정확한 평가가 어려워 심장질환의 조기진단 및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심장질환은 무조건 대학병원을 가야한다는 생각에 처음부터 대학병원에 비싼 의료비를 감당하고도 만족스러운 관리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