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판막증 원인, 심장판막증 증세 |
---|---|
조회수 | 5653 |
심장판막증 원인, 심장판막증 증세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심장은 우리 생명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는 중요한 부위입니다. 심장은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4개의 방과 양측 심실 출구 사이에는 판막이 존재합니다. 판막은 심방과 심실 사이와 심실과 큰 혈관사이에 존재하여 혀랭ㄱ이 한 쪽 방향으로만 흐르고 역류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심자판막증이란 판막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심장판막이 손상을 입을 경우 판막을 통해 혈류이동이 제한을 받게 되는데, 판막이 닫혀야 할 때 제대로 닫히지 않게 되면, 혈류가 역류하여 정상적인 혈액순환을 하기 위해 심장은 더욱 많은 일을 해야 합니다. 심판막증이 심할 경우 심장 효율이 떨어지면서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는 심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심장판막증은 크게 협착증과 폐쇄부전증으로 나누어집니다. 판막협착증은 판막이 좁아져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이며, 판막폐쇄부전증은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 승모판막 협착증 : 어렸을 때 류마티스열의 합병증으로 판막이 손상되는 경우가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 과거 류마티스열이 가장 흔한 원인이였지만, 항생제 발달로 빈도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최근에는 노령으로 승모판막의 퇴행성 변화나 판막이 변형되어 승모판막 탈출증이 가장 흔한 원인을 차지합니다. 또한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해 심장근육이 손상되거나 심장이 확장되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 대동맥판막 협착증 : 과거 주요원인은 류마티스열이였지만 현재는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젊은 사람에게 선천적 원인이 가장 많고, 노인에게는 심장판막의 칼슘침착으로 생기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 : 첨판이 두개 뿐인 선천성 이상이나 희귀한 유전병인 마판증후군에 의해 판막기능이 떨어져 생기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심장판막증의 증세는 심장 효율이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피로감과 운동시 호흡곤란입니다. 심장의 기능이 떨어져 조금만 움직여도 맥박이 빨라지는 증상과 호흡곤란이 일어나며,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생기기도 합니다. 특히 대동맥 판막이 좁아진 경우에는 온 몸으로 나가는 혈액이 제약을 받아 현기증, 실신, 운동시 가슴통증 등이 좀 더 일찍 나타날 수 있습니다. (파란색으로 되어진 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검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0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02. 혈액 및 소변검사, 흉부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03. 심장초음파, 운동부하심초음파 등의 정밀검사 심혈관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우리 환자들의 생명과 관련 깊은 심혈관질환에 대한 이해부족과, 일차의료기관의 심혈관질환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조기진단 및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환자입장에서는 마땅히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일반내과는 심장질환에 대해 잘 진료하지 못 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예약도 어려우며 막상 방문하더라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