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대사증후군진단기준 & 대사증후군치료 |
---|---|
조회수 | 4838 |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란??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성 위험인자를 한 사람이 여러가지를 함께 가지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해 내당능장애(당뇨의 전단계),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심혈관계, 죽상동맥 경화증 등의 여러 가지 질환이 한 사람에게 한꺼번에 나타나는 것을 대사증후군이라 한다.
* 대사증후군을 가진 사람은 당뇨병, 심장병, 뇌졸중 등에 걸릴 확률이 높다.
대사증후군의 주요 위험인자
- 나이 : 나이가 들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증가한다. - 비만 : 체질량지수가 25kg/m2 이상이면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증가한다. - 당뇨병 가족력 : 가족 중 2형 당뇨병이나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던 사람은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높다. - 그 외 질환 :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다낭성 난소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높다.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아래 항목 중, 3가지 이상을 함께 가지고 있을 때
대사증후군 치료
대사증후군의 치료목표는 2형 당뇨병, 심장병, 뇌졸중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다.
1. 일차적으로 체중감량과 운동으로 생활습관을 개선한다.
2. 생활습관개선으로 효과가 없을 경우 약물치료를 시작한다. - 고혈압 조절을 위해 항고혈압 약제를 사용 - 혈전 예방을 위해 아스피린을 사용 - 중성지방등을 낮추기 위해 약물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