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판막증 증상 |
---|---|
조회수 | 5375 |
심장판막증 증상 사람의 심장은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장의 4개의 방과 양측 심실 출구 사이에는 미닫이 문과 같은 판막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이들 판막의 역할은 심장 내에서 혈액을 역류하지 않고, 한 쪽 방향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심장판막증이란, 여러 가지 원인으로 판막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심장판막증이 생겼을 경우 판막이 닫혀야 할 때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류가 역류하면서 정상적인 혈액순환을 하기 위해서는 심장이 더욱 많은 일을 해야 하게 됩니다. 심장판막증이 심할 경우 심장 효율이 떨어져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는 심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크게 심장판막증은 협착증과 판막 폐쇄 부전증으로 나뉩니다. 판막 협착증이란 판막이 좁아져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판막 폐쇄 부전증은 파낙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의 역류가 일어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들은 각각 독립되어 발생할 수도 있으나, 실제로는 협착증과 폐쇄 부전증이 한꺼번에 존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흔히 발견되는 심장판막증은 주로 승모판막과 대동맥판막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이며, 삼천판막과 폐동맥판막의 이상은 다른 판막 질환이 심해짐에 따라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승모판막 질환의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특별한 이유 없이 삼천판막 폐쇄 부전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게 발생합니다.
심장판막증이 발생할 경우 심장의 효율이 떨어짐으로써 피로감과 운동시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하게 됩니다. 또한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조금만 움직여도 맥박이 빨라지는 증상인 부정맥이 생기기도 합니다. 특히 대동맥 판막이 좁아졌을 경우에는 몸으로 나가는 혈액에 제한을 받아 실신, 운동시 가슴통증, 현기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파란색으로 되어진 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검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0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02. 혈액 및 소변검사, 흉부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03. 심장초음파, 운동부하심초음파 등의 정밀검사 심혈관질환이 우리나라의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마땅히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일반내과는 심장질환을 잘 진료하지 못 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예약도 어려우며 막상 방문하더라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