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변이형협심증의 원인은?? |
---|---|
조회수 | 5486 |
변이형협심증의 원인은?? 협심증이란 심장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좁아져, 심장근육으로 가는 혈액량이 요구량에 미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협심증은 동맥경화증 때문에 만성적으로 협착이 되는 안정형 협심증과, 동맥경화반에 혈전으로 관상동맥이 좁아져 생기는 불안정형 협심증, 관상동맥이 일시적으로 수축하여 좁아지는 변이형 협심증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세 가지 협심증 중, 변이형 협심증이란, 안정형 협심증과 불안정형 협심증과는 달리, 관상동맥이 일시적으로 좁아져 발생하게 됩니다. 발생원인이 다르다는 뜻에서 변이형 협심증이란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변이형 협심증은 혈관의 지름은 정상이지만 경련이 일어나 피가 잘 통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변이형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경련에 의해 수축하여 혈류가 감소 또는 차단되어 가슴통증을 발생하게 됩니다. 대개 술을 마시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등의 경우 새벽에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나며, 여자보다는 남자에게서 발생 빈도가 높으며, 흡연이 중요한 위험인자로 작용합니다.
일반 협심증의 경우 대개 운동시 가슴통증이 나타나지만, 변이형 협심증은 운동할 때에는 가슴통증이 없지만, 쉴 때 가슴에 압박감을 느끼고, 대부분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50대 이후에 많은 협심증과는 달리 3~40대에서도 자주 발생하는 질환이므로, 증상이 있을 경우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변이형 협심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증상과 심전도 검사, 경련 유발 검사를 시행합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심장초음파, 운동부하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검사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클릭
변이형 협심증은 대부분 증상이 나타나도 금방 호전이 됩니다. 또한 약물치료로 대부분 증상 없이 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환자의 경우 심근경색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경련 발생시 심실빈맥이라는 무서운 부정맥이 발생하여 급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변이형 협심증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을 경우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심혈관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마땅히 갈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일반내과는 심혈관질환을 잘 진료하지 못 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의료진에 대한 정보를 알기 어려우며, 예약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