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질환이 의심된다면? 심장질환 종류 정보 |
---|---|
조회수 | 5077 |
심장질환이 의심된다면? 심장질환 종류 정보
최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심장과 혈관에 관련된 질환으로 사망한 수가 악성 종양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하면서 우리나라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인구의 노령화, 식생활의 서구화, 경제 성장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심혈관질환의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입니다.
심장질환은 위험성이 높은 질환이기 때문에 평소 예방이 중요하고, 교정가능한 심장질환의 위험인자 등을 미리 관리,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초기 진단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남성은 55세 이상, 여성은 65세 이상에서 심장질환이 많이 나타나며, 사망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심장질환의 위험인자로는 성별, 연령,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 비만, 운동부족 등이 있습니다.
심장은 관상동맥으로 부터 산소, 영양소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관상동맥 혈관이 좁아져 혈액 공급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관상동맥질환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 협심증은 관상동맥혈관이 좁아져 심장으로 가는 혈류량이 적어지면서 발생화는 질환으로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가슴통증과 호흡곤란이 있습니다. 협심증이 심해지면 심근경색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심근경색 : 관상동맥이 막혀 심장으로 가는 혈액이 차단되면서 심장근육, 심장의 일부분이 죽는 것을 심근경색이라고 합니다. 가슴통증은 협심증을 의심할 수도 있지만, 30분 이상 통증이 지속되는 등 심해진다면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되었을 확률이 높습니다.
관상동맥질환 검사방법 알아보기 ☞클릭
부정맥이란 심장박동이 불규칙한 질환입니다. 서맥 부정맥은 정상보다 맥이 느릴때, 빈맥 부정맥은 정상보다 맥이 빠를때를 일컫습니다.
부정맥의 증상 : 어지러움, 가슴두근거림, 실신, 피곤함 등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이 계속 된다면 정확한 검사를 통해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부정맥 검사방법 알아보기 ☞클릭
심장에는 4개의 판막이 존재하는데 피를 한 쪽 방향으로 원활이 돌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심장판막이 망가진다면 혈액 흐름조절에 이상이 생기게 됩니다.
심장판막질환의 증상 : 심장판막질환은 심장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조금만 움직여도 맥박이 빨라지며, 운동시 호흡곤란, 피로감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심장판막증 검사방법 알아보기 ☞클릭
심부전이란 위에서 설명드린 관상동맥질환, 판막질환 등의 말기에 심장기능이 저하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심부전증 검사방법 알아보기 ☞클릭
심근질환은 심장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거나 늘어나거나 혹은 심장근육에 지방침착 등이 일어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심근질환 검사방법 알아보기 ☞클릭
최근 심혈관질환이 각종 암 및 뇌혈관질환에 이어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환경이 변화하면서 30~40대의 심잘질환에 의한 돌연사 또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심장질환이 걱정되면서도 막상 편하게 방문할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