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가슴통증, 협심증 초기 증상은 아닐까?? |
---|---|
조회수 | 5521 |
가슴통증, 협심증 초기 증상은 아닐까??
협심증이란 이와같이 관상동맥의 혈관이 좁아져 혈액 공급이 감소하게 되면 발생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관상동맥이 좁아짐으로써 혈압이 갑자기 떨어지거나, 동맥경화증, 빈혈, 심장판막질환,부정맥 등 여러 상황에서 협심증이 유발될 수 있으며, 협심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될 수 있어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협심증에 의해 경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통증입니다. 빨리 걸을 때, 언덕을 오를 때, 계단을 오를 때, 무거운 짐을 들 때와 같이 심장이 평소보다 많은 일을 할 때 발생하게 되며, 심장이 무리할 수록 통증이 심해 질 수 있습니다.
협심증에 의한 가슴통증은 대개 2~5분 사이로 나타나고 30분 동안 지속되기도 합니다. 통증이 2~3초 사이로 짧다면 협심증일 가능성은 다소 낮아지고, 30분 이상 통증이 지속된다면 심근경색증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다소 높으므로 신속히 응급실을 찾아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협심증으로 가슴통증을 느끼는 이유는 관상동맥이 좁아짐으로써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며, 특히 심장이 더 많은 일을 할 때는 심장이 필요한 혈액의 양이 증가되지만, 혈액 공급에 한계가 있어 가슴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협심증 환자도 잠시 쉬게 되면 어느정도 혈액공급은 가능하기 때문에 가슴통증이 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관상동맥이 아주 좁아졌거나 급성으로 혈전이 생긴다면 휴식을 취할때도 가슴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파란색으로 되어진 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검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의 협심증 진료
최근, 각종 암 및 뇌혈관질환 다음으로 심혈관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심장질환이 의심되고 걱정되어 진료를 받고 싶어도 사실 편하게 갈 만한 곳이 쉽게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평소 쉽게 방문하던 일반내과는 심장 관련한 질환을 잘 진료하지 못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예약도 어려우며, 의료진에 대한 정보도 알기 어렵고, 막상 방문한다고 해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