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호흡곤란증상 원인은 무엇일까?? |
---|---|
조회수 | 5233 |
호흡곤란증상 원인은 무엇일까?? 호흡과 관련되어 특별히 힘을 쏟지 않으면 숨쉬기 어렵거나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 호흡곤란 또는 호흡장애라고 부릅니다.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숨찬 느낌, 숨이 부족하게 쉬어지는 느낌, 가슴이 조이는 느낌, 답답한 느낌 등 다양하게 표현합니다. 호흡곤란을 큰 병이 아니라고 여겨 무심코 지나치는 분들이 있으나, 의미있는 사망률 증가와도 관련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증상이 지속될 경우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호흡곤란은 심부전, 협심증, 판막질환, 서맥, 부정맥 등 심장자체 문제가 원인이 될 수도 있지만 그 외 내과적인 질환이 심장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도 낮지 않습니다. 또한 질환이라고 보기 어렵지만, 만성질환이나 발열이 지속된다면 호흡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호흡곤란이 일어나는 원인은 이처럼 다양하므로 일반적인 내과적 문제 및 심리적인 문제 등을 종합하여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호흡곤란 증상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심장 및 폐기능을 평가하게 되며, 일반적인 내과 검사 외의 다음과 같은 호흡곤란을 위한 정밀검사 시행, 정확한 검진 후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1. 내과적검사 : 기본혈액소변검사, 심장기능 혈액 검사, 흉부 X선 사진, 심전도, 체성분 분석 검사
호흡곤란 증상은 여러 검사를 받아도 원인을 밝혀내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운동시에만 나타나는 심장내과 압력상승과 운동시 심해지는 판막기능 이상 등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운동부하심초음파 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운동부하심초음파를 통해 심장의 압력변화, 심근벽의 변화, 판막질환의 정도 등을 직접확인하여 운동시 호흡곤란, 협심증, 판막질환에 대한 정확한 검사가 가능합니다.
최근, 암 및 뇌혈관질환 다음으로 심혈관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심혈관질환이 의심되어도 현실적으로 마땅히 갈 만한 곳이 쉽게 떠오르지 않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