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판막증의 원인과 증상은?? |
---|---|
조회수 | 5714 |
심장판막증의 원인과 증상은??
심장은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중요한 중추기관으로, 심장 안에는 4개의 판막이 존재합니다. 판막의 기능은 심방과 심실 사이, 큰 혈관사이에 존재하여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한 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심장판막증은 크게 협착증과 폐쇄부전증으로 나누어집니다. 협착증이란 판막이 좁아진 상태를 말하며, 판막폐쇄부전증은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두가지 원인은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두 가지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승모판막 협착증 : 어렸을 때 류마티스 열의 합병증으로 판막이 손상되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 과거 류마티스열이 가장 흔한 원인이였지만, 항생제의 발달로 빈도가 감소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최근에 노령에 따라 승모판막의 퇴행성 변화나 판막이 변형되어 승모판막 탈출증이 가장 흔한 원인을 차지합니다. 도한 관상동맥질환으로 심장근육이 손상되거나 심장이 확장되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 대동맥판막 협착증 : 과거 류마티스열이 주요원인이였지만 현재는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젊은 사람에게 선천적인 원인이 가장 많고, 노인에게는 심장판막의 칼슘침차긍로 생기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 : 첨판이 두개 뿐인 선천성 이상이나, 희귀한 유전병인 마판증후군에 의해 판막기능이 떠러져 생기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심장판막증이 있을 경우 심장의 효율이 떨어져 피로감과 운동시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하게 됩니다. 또한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조금만 움직여도 맥박이 빨라지는 증상과 호흡곤란, 부정맥이 생기기도 합니다. 특히 대동맥 판막이 좁아졌을 경우 옴 몸으로 나가는 혈액의 제한을 받아 실신, 운동시 가슴통증, 현기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파란색으로 되어진 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검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0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02. 혈액 및 소변검사, 흉부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03. 심장초음파, 운동부하심초음파 등의 정밀검사 가슴편한내과는 일반내과 진료도 편하게 받으시면서 심장질환이 의심될 경우 편하게 대학병원 수준의 진료 및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