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질환의 종류에는 무엇이있을까? |
---|---|
조회수 | 5332 |
심장질환의 종류에는 무엇이있을까? 2009년 통계청에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심장과 혈관에 관련된 질환으로 사망한 수가 우리나라 사망원인에서 2위를 차지하여 악성 종양 다음으로 우리나라에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와 경제 성장, 인구의 노령화 등으로 심혈관질환의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심장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교정가능한 심장질환의 위험인자 등을 미리 관리하고, 심장질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초기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남성은 55세 이상, 여성은 65세 이상에서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심장질환의 위험인자로는 연령, 성별,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흡연, 운동부족, 비만 등이 있습니다.
관상동맥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혈관으로, 관상동맥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관상동맥질환이라고 합니다. 관상동맥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이 있으며,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장근육의 피가 부족하여 생기는 질환이며, 심장으로 가는 관상동맥이 막혀 혈액이 차단되면 심장근육이 죽는 심근경색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관상동맥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통증과 호흡곤란으로, 이러한 증상이 지속될 경우 정확한 진단을 통해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관상동맥질환 검사방법 알아보기 ☞클릭 부정맥이란 심장박동이 불규칙한 질환으로 정상보다 맥이 느려 발생하는 서맥 부정맥 질환과 맥이 정상보다 빨라 문제가 되는 빈맥 부정맥 질환 등이 있습니다. 부정맥에 대표적 증상으로는 가슴두근거림, 어지러움, 피곤함, 실신 등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이 지속될 경우에는 정확한 검사를 통해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부정맥 검사방법 알아보기 ☞클릭 심장은 피를 한 쪽 방향으로만 보내주는 4개의 판막이 존재하는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판막이 망가져서 이러한 조절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을 심장판막질환이라고 합니다. 심장판막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심장의 효율이 떨어져 발생하는 운동시 호흡곤란과 피로감이며, 심장의 효율이 떨어지면 조금만 움직여도 맥박이 빨라지며, 호흡곤란 등이 올 수 있습니다. 심장판막증 검사방법 알아보기 ☞클릭 심부전이란 관상동맥질환이나 판막질환 등 대부분의 심장질환 말기에 심장기능이 저하됨으로써 생기는 질환입니다. 심부전의 대표적인 증상은 숨찬증상(호흡곤란)이며, 계단을 오르기만 해도 과도하게 숨이 찬 증상이 지속된다면, 심부전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심부전증 검사방법 알아보기 ☞클릭 심근질환은 심장근육이 늘어나거나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거나 혹은 지방침착 등이 일어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심근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가슴두근거림, 부종 등이며, 이러한 증상이 지속될 경우 심장질환 검사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심근질환 검사방법 알아보기 ☞클릭
최근 심혈관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3~40대에 돌연사를 포함한 심장질환의 빈도 또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우리와 생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막상 편하게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