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판막증이란?? |
---|---|
조회수 | 5022 |
심장판막증이란??
판막협착증 : 판막이 좁아져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 판막폐쇄부전증 :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의 역류가 일어나는 상태
심장판막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심장의 효율이 떨어져 발생하게 되는 운동시 호흡곤란과, 피로감입니다. 판막의 기능이상으로 심장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면, 조금만 움직여도 맥박이 빨라지며, 호흡곤란이 올 수 있으며, 이와 도로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생기기도 합니다. 또한 온 몸으로 혈액이 나가는 대동맥 판막이 좁아진 경우에는 현기증이나 운동시 흉통, 실신 등의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판막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 판막을 통해 혈액이 이동하는데 제한을 받게 됩니다. 판막이 닫혀야 할 때 닫히지 않을 경우에는 혈류가 역류하여 심장이 더욱 많은 일을 해야만 혈액순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장판막증이 심할 경우, 심장효율이 떨어져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는 심부전이 발생될 수 있으며,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심장판막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단계로 심장의 잡음을 청진하게 됩니다. 심장 청진시 판막증이 의심되면 심장초음파 검사를 시행합니다. 심장초음파 검사는 확진과 이상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이며,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하여 판막증의 종류과 정도를 잘 확인할 수 있어 판막증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중요한 검사입니다. (파란색으로 되어진 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검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0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02. 혈액 및 소변검사, 흉부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가슴편한내과의 심장판막증 진료
- 판막질환에 대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를 통하여 최대한 본인의 판막 유지 - 풍선교련절제술, 판막성형술, 판막치환술회로술 등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관리
최근, 심혈관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막상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평소, 쉽게 방문하는 일반내과는 심장질환을 잘 진료하지 못 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예약도 어려우며, 막상 방문하여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