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두근거림, 부정맥증상일까?? |
---|---|
조회수 | 6221 |
심장두근거림, 부정맥증상일까??
시도때도 없이 가슴이 두근두근 거리는 심장두근거림을 느낀다면, 심장병에 의한 증상은 아닐까 라는 불안감에 휩싸이게 됩니다. 건강한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느끼지 못하는 심장박동을 실제로 느끼게 되면, 불안감이나 불편감을 느끼게 되며, 이러한 증상을 가슴두근거림 또는 심계항진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이러한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심장박동이 빠르다는 느낌, 심장이 엇박자로 뛰는 느낌, 꿀렁거리는 느낌 등의 다양한 증상으로 표현합니다.
심장두근거림의 원인은 심장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그 외의 내과적 질환으로 인하여 심장이 이차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으며, 화를 낸다거나 흥분하거나 긴장된 경우,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인 원인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심장두근거림의 원인은 알아내기 위해서는 내과적 문제와 심리적인 문제 등을 종합하여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심장두근거림이 일시적인 현상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가슴이 쿵하고 내려앉는 느낌이나 심장이 갑자기 멈추는 듯한 느낌, 심장이 빠르거나 느린 느낌이 든다면 부정맥의 여부를 의심해보아야합니다.
심장두근거림의 진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심장질환이 원인인지 여부를 가려내는 것이고, 심장질환이 원인이라면 실제로 부정맥이 존재하는지, 심장의 구조적 이상이 동반되어 있는지를 검사해보아야 합니다.
일반적인 내과적 검사와 함께 심장에 대한 검사(심장초음파 검사, 24시간 심전도 검사 등)을 시행하여 원인을 파악하게 됩니다. 만약, 내원했을 당시 증상이 있다면 2~3초의 심장의 전기적 상태를 확인해볼 수 있는 심전도로도 진단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내원했을 당시에는 증상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아 지속적인 심장의 전기적 상태를 측정하는 24시간 활동성 심전도와 일주일간 검사를 하는 간헐적 심전도 검사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파란색으로 되어진 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검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내과적 검사 : 기본혈액소변검사, 심장기능 혈액 검사, 흉부 X선 사진, 심전도, 체성분 분석 검사 심장의 구조적 검사 : 심장초음파 부정맥 종류 검사 :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 간헐적 심전도
- 부정맥에 대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 - 인공심박동기 시술이 필요한 경우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인공심방동기 관리
최근, 심혈관질환이 각종 암이나 뇌혈관 질환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막상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딱히 편하게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평소, 쉽게 방문하는 일반내과에서는 심장질환을 잘 진료하지 못 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의료진에 대한 정보도 알기 힘들고, 예약도 너무 어려우며 막상 방문해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심장혈관질환의 합병증 때문에 치료해야 하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성인병도 의학저인 원칙에 따라 편한 마음으로 믿고 치료받을 수 있는 주치의가 있는 곳을 찾기도 호나자 입장에서는 어렵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