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판막증 증상, 심장판막증 증세 | ||
---|---|---|---|
조회수 | 3911 | ||
[순환기내과]심장판막증 정보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하는 심장은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장은 4개의 방과 양측 심실 출구 사이에 판막이 존재하는데, 판막은 심장의 이완 수축에 따라 열리고 닫혀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판막은 심방에서 심실로, 심실에서 대동맥이나 폐동맥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 시켜줍니다.
혈액의 순환 경로 전신 -> 우심방 -> 삼첨판 판막 -> 우심실 -> 폐동맥 판막 -> 폐 -> 좌심방 -> 승모판 판막 -> 좌심실 -> 대동맥판막 -> 전신
판막종류와 위치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는 승모판막,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는 대동맥판막,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는 삼첨판막, 우심실과 폐동맥판막이 있습니다.
심장판막증이란??
심장판막증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판막이 망가져서 이러한 조절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크게 협착증과 폐쇄 부전증으로 나눌 수 있는데 판막협착이란 판막이 좁아져 이를 통한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판막 폐쇄 부전은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피의 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혈액의 역류가 일어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두가지가 각각 독립되어 발생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협착증과 폐쇄 부전증이 한꺼번에 존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장판막증 증상
심장판막증 환자들의 공통적인 증상은 심장의 효율이 떨어져 나타나는 피로감과 운동시 호흡곤란입니다. 심장판막증으로 인해서 심장의 기능이 저하될 경우, 조금만 움직여도 맥박이 빨라지게 되는 증상과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하게 됩니다. 이와 별도로 맥박이 불규칙해지고 빨라지는 부정맥이 생겨 가슴두근거림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특히, 좌심실에서 온몸으로 혈액이 나가는 대동맥 판막이 좁아진 경우 온몸으로 나가는 혈액의 흐름이 제한되기 때문에 현기증과 실신, 운동시 가슴통증 등의 좀 더 일찍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장판막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할까??
심장판막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하는 심장초음파를 하게 됩니다. 심장초음파 검사는 환자에게 통증없이 간편하게 검사받을 수 있으며, 판막 이상의 종류와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판막증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검사입니다.
가슴편한 내과에서의 심장판막증 진료
- 판막질환에 대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를 통하여 최대한 본인 판막 유지 - 풍선교련절제술, 판막성형술, 판막치환술회로술 등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관리
환자분들이 좀 더 편하게 내과 및 심혈관질환을 전문적으로 진료받으실 수 있는, 그리고 좀 더 인간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진료의 공간을 마련하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으로 "가슴편한내과"를 개원하게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