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뇌경색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심방세동 부정맥 바로 알기 |
---|---|
조회수 | 621 |
부정맥의 한 종류인 심방세동이 나타나는 주된 원인은 노화이기 때문에 고령회 사회가 돼가는 요즘 발생률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하지만 아직 빈맥(맥박이 1분에 100회 이상 뛰는 부정맥의 한 종류)처럼 정보가 많이 알려지지 않아 잘 모르시는 분들도 많죠.
그런데 심방세동은 뇌경색증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적합한 치료를 받거나 미리 예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심방세동이 무엇인지, 대처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
"심방세동 부정맥이 무엇인가요?"
심장은 우심방의 동결절에서 만들어지는 전기를 우심실에서 받아 이에 맞춰 맥박이 뛰며 피를 순환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그런데 동결절 외 심방안의 여러 곳에서 전기가 만들어져 심방이 가늘게 떨린다면 이것을 심방세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결절이란? 우심방 벽에 있는 특수한 근육세포를 말합니다.)
사실 이러한 심방세동이 일어났다 해서 당장 심장이 멈추는 건 아닌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빠른 치료를 강조 드리는 이유는 원래 심방이 피를 심실로 내려보내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심방세동이 있다면 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피가 고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피가 고인다면 굳으면서 혈전이 생성되고 혈전이 뇌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뇌혈관을 막으면 뇌경색증이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등의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치료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하나는 빠르게 뛰는 맥을 조절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혈전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부정맥 증상, 특화된 검사 방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말씀드리면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알겠는데, 검사받으려니 증상이 없어요'라고 말씀하실 수도 있는데요. 심방세동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부정맥은 증상이 간헐적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증상이 있을 때 내원하여 검사를 받기는 무리가 있을 수 있죠.
이런 점들 보완하기 위해 가슴편한내과에서는 부정맥에 특화된 검사 방법을 이용하여 진단하고 있는데요. 예를 들어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검사, 간헐적 심전도 검사를 통해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증상과 부정맥의 연관성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이렇게 해서 심방세동 부정맥에 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심방세동 부정맥은 심장 답답함, 호흡곤란의 증상이 있을 수 있지만 오히려 무증상인 경우도 많기에 평소에 음주와 흡연을 자제하고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도 예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이외에 심방세동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거나 의심되는 증상으로 특화된 부정맥 검사를 받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문의 남겨주세요.
26년 이상 부정맥 및 심혈관질환을 검사해온 경험과 노하우가 있는 순환기내과 분과전문의와 함께 하는 가슴편한내과에서 전문적인 답변 및 예약 도와드리겠습니다.
☎02-545-8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