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판막증 증상은?? | ||
---|---|---|---|
조회수 | 4754 | ||
심장내과 가슴편한내과의 심장판막증 정보
심장 안에는 4개의 파막이 존재합니다. 판막은 혈액이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고, 역류를 하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합니다. 만약, 판막이 손상을 입을 경우 혈류가 역류하여 혈액순환을 정상적으로 하기 위해 심장이 더욱 많은 일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판막증이 심할 경우 심장효율이 떨어져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는 심부전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전신 -> 우심방 -> 삼첨판 판막 -> 우심실 -> 폐동맥 판막 -> 폐 -> 좌심방 -> 승모판 판막 -> 좌심실 -> 대동맥판막 -> 전신
심장판막증이 생길 경우 혈류가 역류하여 심장이 더욱 많을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심장의 효율이 떨어져 피로감과 운동시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하게 됩니다. 심장의 효율이 떨어지므로 조금만 움직여도 맥박이 빨라지게 되며, 호흡곤란이 올 수 있고,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한 온몸으로 혈액을 배출하는 대동맥 판막이 좁아질 경우에는 현기증, 운동시 가슴통증,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장판막증은 어느 정도 진행되기 전까지는 대부분 증상이 정확히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심장판막증이 의심될 경우 심장질환에 대한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판막증이 의심된다면, 심장초음파 검사와 함께 내과적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초음파 검사는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함으로써 심장질환의 진단, 추적관찰 및 향후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또한 심장음파 검사를 통해 판막증 종류와 정도를 확인할 수있어 판막증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중요한 검사입니다.
- 판막질환에 대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를 통하여 최대한 본인 판막 유지 - 풍선교련절제술, 판막성형술, 판막치환술회로술 등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