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심장판막증 (valvular heart disease) | ||
---|---|---|---|
조회수 | 4296 | ||
심장내과 가슴편한내과의 심혈관질환 정보
심장은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부위로, 심장의 구조를 살펴보면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방과 양측 심실 출구 사이에는 판막이 존재합니다. 판막의 기능은 심장의 이완 수축에 따라 열리고 닫히면서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심장판막증이란, 이러한 심장판막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심장판막증을 일반적으로 크게 협착증과 폐쇄부전증으로 나누어지는데 판막의 협착이란 판막이 좁아져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판막폐쇄부전증은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의 역류가 일어나는 상태입니다. 이 두 가지 원인은 독립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두 가지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판막이 손상을 받게 되면 판막을 통해 혈액이 이동하는데 제한을 받게 되는데, 판막이 닫혀야 할 때 닫히지 않을 경우 혈류가 역류하여 혈액순환을 정상적으로 하기 위해 심장이 더욱 많은 일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심장판막증이 심할 경우에는 심장효율이 떨어져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는 심부전증을 발생할 수 있고,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심장판막증의 증상은??
심장판막증의 공통적인 증상은 심장의 효율이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피로감과 운동시 호흡곤란입니다. 판막의 기능 이상으로 심장의 효율이 떨어지면 조금만 움직이면 맥박이 빨리지지게 되며, 호흡곤란이 올 수 있고, 이와 별도로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생기기도 합니다. 또한 온몸으로 혈액이 나가는 대동맥 판막이 좁아질 경우 현기증, 운동시 흉통,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장판막증은 어느 정도 진행이 되기 전에는 대부분 증상이 정확히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단 심장판막증 의심 증상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심장질환에 대한 정확하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판막증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는??
심장판막증이 의심될 경우 확진과 정확한 이상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심장초음파 검사가 필요합니다. 심장초음파 검사는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함으로써 판막증 종류와 정도를 잘 확인할 수 있어 판막증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검사입니다.
- 판막질환에 대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를 통하여 최대한 본인 판막 유지 - 풍선교련절제술, 판막성형술, 판막치환술회로술 등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관리
최근, 심혈관질환이 각종 암 및 뇌혈관질환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이지만, 실제로는 막상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딱히 편하게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평소, 쉽게 방문하는 일반내과는 심장질환을 잘 진료하지 못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의료진의 정보도 알기 힘들고, 예약도 너무 어려우며 막상 방문해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이러한 환자분들의 현실적, 의학적 요구를 반영하여 일반내과진료도 다른 내과의원과 같이 편하게 받으시면서, 판막질환, 협심증, 부정맥 등으 심장혈관질환 문제로 진료받으시는 분들은 편하게 대학병원 수준의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시술이나 수술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가장 유능한 대학병원 의료진과 연결시켜 드리며 시술이나 수술 후, 다시 본원에서 내과적 치료를 편하게 받으실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