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운동부하검사와 운동부하심초음파검사의 차이점 |
---|---|
조회수 | 1011 |
안녕하세요, 가슴편한내과입니다. 오늘은 운동부하검사 vs 운동부하심초음파검사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여러분은 심혈관질환을 진단하는 검사라고 하면 어떤 것이 떠오르시나요?
심장초음파, 심전도, 운동부하검사를 떠올리셨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처럼 '운동부하검사'는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심혈관질환 검사 방법이지만, 운동부하심초음파검사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과연, 운동부하시초음파검사란 무엇이며, 운동부하검사와는 어떤 점이 다른 것일까요?
관상동맥CT와 같은 정확도 90~95% 운동부하심초음파검사
운동부하검사
운동부하검사는 환자의 가슴에 심전도 전극을 부착한 후, 트레밀 기기 위에서 운동하도록 하여 혈압과 심장박동수, 그리고 심전도의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운동 중에만 증상이 나타나는 특징을 지닌 협심증을 진단하는데 중요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운동능력을 평가할 수 있어, 운동선수와 군입대를 앞둔 청년들도 검진의 목적으로 많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심장초음파검사/순환기내과 분과전문의 이경진 원장 운동부하심초음파검사
운동부하심초음파검사는 위에서 언급한 운동부하검사 전후로 심장초음파 검사를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단순하게 심장초음파 검사만 추가로 진행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운동부하검사 전후로 심장초음파를 진행한다면 운동 전후로 변화는 심근벽의 건강 상태와 심장의 압력 변화 등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운동부하검사를 진행하는 환자의 경우, "통증이 없어요", "생각보다 괜찮아요"라고 느끼고 표현할 수 있으나 운동 전후로 심장초음파 검사를 진행할 경우, 실제로는 심장의 압력이 가중되어, 조치가 필요한 상태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운동부하심초음파검사는 심혈관 건강 상태를 정밀한 데이터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협심증과 같은 관상동맥질환과 판막질환, 부정맥을 진단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되며, 운동 시 나타나는 호흡곤란, 가슴통증 등 원인을 알기 어려운 증상의 발생 원인을 심혈관질환과 연관 지어 확인해 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운동부하검사로 심전도의 변화만 보는 경우 진단율이 70~80%이지만, 운동부하심초음파검사의 정확도는 관상동맥 CT와 같은 90% 전후입니다.
특히, 운동부하심초음파검사는 의료진의 경험과 숙련도에 따라서 95%의 정확도까지 볼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단, 운동부하심초음파검사는 국내에서 가슴편한내과를 포함한 일부 유수 병(의) 원에서만 진행할 수 있는 고난도 검사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정밀한 심혈관질환 검사를 원한다면 운동부하심초음파 검사 진행이 가능한 곳인지, 경험이 풍부한 순환기내과 분과전문의가 검사 및 진료를 주도하고 있는지를 확인해 봐야 합니다.
또한, 운동부하검사 전후로 진행하는 심장초음파 검사 시에는 아주 좋은 각도로 영상을 잘 잡아내는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물리학적으로 심장의 압력을 구하는 것으로 도플러의 기능이 좋은 장비일수록 혈관 내 혈액 흐름의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도플러의 기능이란 체내로 전달된 초음파가 혈관 속 적혈구에 부딪혀 돌아올 때 달라지는 주파수를 통해서 혈관 내 혈액 흐름을 알 수 있는 기법 그래서, 운동부하심초음파 검사 시에는 검사자의 숙련도와 사용되는 장비 모두 중요하게 작용됩니다. 만약 이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거나 심혈관질환이 의심되지만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할지 잘 모르겠다면 아래 카카오톡 상담으로 문의를 남겨주세요.
26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는 순환기내과분과 전문의가 함께하는 가슴편한내과에서 빠르고 상세하게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가슴편한내과의 대표원장 주요 약력
* 순환기내과 분과전문의 / 내과전문의 *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임상교수 역임 * 을지대학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역임 * 미국 메이오클리닉 심장혈관센터 Research Fellow 역임 * 심장초음파 인증의 / 심혈관 중재시술 인증의 * 대한임상순환기학회 학술부회장 * 한국초음파학회 학술부회장 * 서울시내과의사회 법제부회장 * 대한내과학회 법제이사 *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위원회 위원 ☎ 02-545-8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