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슴두근거림, 혹시 부정맥일까요??
심장은 우리 몸에 피를 공급해주기 위해 하루 10만번 이상 수축과 이완 운동을 하고 있지만, 건강한 사람들은 이러한 심장박동을 잘 느끼지 못합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운동이나 힘든 일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심장박동을 실제로 느낀다면, 이는 가슴두근거림을 호소합니다.
가슴두근거림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심장박동이 빠르다는 느낌, 심장이 엇박자로 뛰는 느낌, 꿀렁거리는 느낌 등의 다양한 증상을 호소합니다. 가슴두근거림을 느꼈다면, 심장질환과 관련이 있는지 혹은 부정맥이 존재하는지, 심장의 구조적인 이상이 동반되는지 등을 검사를 통해 파악해야 합니다.
가슴두근거림, 이유가 무엇일까요??
가슴두근거림 증상을 느끼는 이유는 심장자체의 문제일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장기에 문제가 생겨 심장에 이차적으로 영향을 주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심리적인 문제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내과적 문제와 심리적인 문제 등을 종합하여 원인을 알아보아야 합니다.
가슴두근거림, 혹시 부정맥일까요??
부정맥은 심장박동이 불규칙한 질환들을 말하며, 부정맥 환자의 경우 맥박수가 너무 빠른 느낌, 또는 너무 느린 느낌, 불규칙한 느낌 등으로 인해 심장박동을 실제로 느끼게 됩니다. 부정맥이 생겼을 경우 비정상적인 심장박동으로 인해 가슴두근거림 또는 덜컹거림을 느낄 수 있으며, 심장기능이 저하되어 현기증이나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슴두근거림이 부정맥으로 오는 증상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증상과 심장의 전기적 신호의 이상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가슴두근거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가슴두근거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내과적 검사와 함께 심장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여 가슴두근거림을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증상이 나타났을 당시에는 간단한 심전도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내원했을 당시 증상이 사라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24시간 활동성 심전도나 간헐적 심전도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가슴두근거림의 원인을 알기 위한 검사는??
(파란색으로 되어진 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검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내과적 검사 : 기본혈액소변검사, 심장기능 혈액 검사, 흉부 X선 사진, 심전도, 체성분 분석 검사
심장의 구조적 검사 : 심장초음파
부정맥 종류 검사 :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 간헐적 심전도
가슴편한내과의 부정맥 진료
- 부정맥에 대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
- 인공심박동기 시술이 필요한 경우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인공심박동기 관리
심장혈관내과 "가슴편한내과"
최근, 심혈관질환이 각종 암 및 뇌혈관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일반내과는 심장질환을 잘 진료하지 못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예약도 너무 어려우며,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어 실제로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딱히 편하게 갈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이러한 환자분들의 현실적, 의학적 요구를 반영하여 소화기, 호흡기, 신장기 질환 등 일반내과진료도 다른 내과의원과 같이 편하게 받으시면서 심장혈관문제가 관련되었을 경우 더욱 세밀하게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판막질환이나 협심증, 부정맥 등의 심장혈고나문제로 진료받으시는 분들은 편하게 대학병원 수준의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시면서 꼭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장 유능한 대학병원 의료진과 연결시켜 드리며 시술이나 수술 후, 다시 본원에서 내과적 치료를 편하게 받으실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