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울혈성심부전의 원인은?? |
---|---|
조회수 | 7043 |
울혈성심부전의 원인은??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수축 능력이 감소하면, 심장은 심장이 내보내는 혈액의 양을 유지하기 위해 보상작용을 하게 됩니다. 심근의 수축력이 감소되면 시장은 두 가지의 기능변화가 일어나는데, 심박동수의 증가와 배출하는 혈액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좌심실에 비대입니다. 이러한 보상작용으로 감소된 심장박출양을 더이상 보상하지 못하면 울혈성심부전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울혈성이란 심장이 심장내의 혈액을 효과적으로 내보내지 못하기 때문에 폐에 물이 고이는 것과 같이 혈액이 고이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 혈액이 폐나 간 등 다른 기관으로 역류하기도 합니다. 심장에서 필요한 양의 혈액을 내보지 못해 체내 곳곳에 혈액부족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울혈성심부전의 원인으로는 폐울혈, 심장판막증, 허혈성심질환, 고혈압성 심장병, 선천성 심장병, 심근질환 등으로 인한 장애 때문입니다. 그밖에 빈혈이나 감염성 질환, 부정맥, 임신, 갑상선기능 항진증, 고형랍, 과도한 염분 섭취나 평소 투약 중인 심장약 중지, 정신적 육체적 과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은 움직이거나 누울 때 숨이 차고 가래를 동반한 기침을 하며, 복부, 다리, 발목 등이 붓게 됩니다. 불규칙적인 심장박동, 빈맥, 저혈압, 간비대 등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파란색으로 되어진 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검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01. 병력청취및 이학적 검사(진찰) 02. 혈액/소변 검사 및 흉부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03. 심장초음파,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등의 정밀검사
- 생활습관개선(식이요법, 운동요법)을 위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 - 심실제동기화치료 등의 시술이 필요한 경우는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관리
심장은 생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환자들의 심혈관질환에 대한 이해부족과 일차의료기관의 심혈관질환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심혈관질환의 조기 진단 및 치료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심혈관질환은 무조건 대학병원을 방문해야 한다는 생각에 처음부터 비싼 의료비를 감당하지만, 대학병원은 의료진과 정보도 알기 힘들고, 예약도 어려우며,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게 됩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