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성 심질환이란?

우리 몸은 각 장기의 심장의 수축과 이완운동을 통해 적절한 혈액을 공급받아 산소와 영양분을 얻게 됩니다. 이러한 심장이 원활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혈관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게 되는데,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혈관을 관상동맥이라고 합니다.
허혈성심질환이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근육으로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 심장근육은 저산소증에 빠져 기능에 장애가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질환을 허혈성심질환이라고 하며, 관상동맥질환이라고도 합니다. 허혈성심질환에 임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은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또는 급사(돌연사)로 나타납니다.
허혈성심질환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발생빈도가 높고 연령이 높을 수록,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가 많을 수록 발생빈도가 높습니다. 원인은 대부분 동맥경화로 인한 관상동맥에 협착인데, 동맥경화의 위험인자는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고령, 심혈관질환의 가족력 등이 있습니다.
허혈성심질환의 증상은??
허혈성심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바로 가슴통증입니다. 협심증의 경우 통증보다는 압박감과 조이는 느낌 또는 타는 듯한 느낌 등이 강하게 나타나며, 증상은 목과 어깨, 팔로 퍼져나가지만 때로는 팔이나 손목에서만 일어나며 30초~30분 동안 지속됩니다. 일부 환자의 경우 전혀 통증이 없는 경우도 있으며, 그 밖에 심장의 기능이 떨어져 심부전으로 인한 호흡곤란, 실신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허혈성심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는??
(파란색으로 되어진 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검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심전도 검사
2. 심장초음파 검사
3. 운동부하검사
4. 운동부하심초음파
가슴편한내과에서의 허혈성심질환 진료
- 생활습관개선(식이요법, 운동요법)을 위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
- 스텐트시술 및 관상동맥우회로술 등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관리
가슴이 편해지는 "가슴편한내과"
최근 심혈관질환이 우리나라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막상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갈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평소 쉽게 방문하는 일반내과는 심장질환을 잘 진료하지 못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의료진의 정보도 알기 힘들고, 예약도 너무 어려우며, 막상 방문하더라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이러한 현실적, 의학적 요구를 반영하여 일반내과 진료도 편하게 받으시면서 심혈관문제가 관련되었을 경우 더욱 세밀하게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대학병원급 검사시스템으로 편하게 진료 받으시면서 만약 시술이나 수술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가장 유능한 대학병원 의료진과 연결시켜 드리며, 시술이나 수술 후, 다시 본원에서 내과적 치료를 편하게 받으실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