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슴이 빨리 뛰면 부정맥인가요??
무리한 운동을 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가슴이 빨리 뛰는 것을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장은 늘 뛰고 있지만 건강한 사람들은 자신의 심장박동을 못느끼지만, 실제로 가슴이 뛰는 것을 느낄 경우 가슴두근거림을 느낄 수 있고, 가슴이 빨리 뛴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슴이 빨리 뛰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일반적으로 심장박동수의 정상범위는 분당 50~60회에서 100회까지 입니다. 심장박동이 증가되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부정맥으로 부정맥에 의해서 심장박동수가 분당 100회 이상으로 빨리지는 것을 빈맥이라고 합니다.
빈맥이 발생하는 원인은 부정맥의 발생의 원인인 심근으로 가는 전기적인 신호의 이상, 심장질환(허혈성심질환, 심장판막질환, 선천성 심질환, 심근질환), 폐질환(폐색전증, 저산소혈증, 고탄산혈증), 전신질환(갑상성 기능 항진증, 고혈, 빈혈), 약물 중독(항부정맥제), 전해질 대사 이상 등이 있습니다.
가슴이 빨리 뛰면, 부정맥인가요??
가슴이 빨리 뛰는 느낌이 있다면 실제로 부정맥이 존재하는지, 심장의 구조적인 이상이 동반되는지를 검사해보아야 합니다. 가슴이 빨리 뛰는 것은 심장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다른 장기에 문제가 생겨 심장에 영향을 주어 생길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가슴이 빨리 뛰는 증상이 부정맥에 의한 증상인지 알기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하여 심장의 전기적인 신호의 이상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부정맥일 경우 가슴이 빨리 뛰는 것 외에 어떤 증상이 나타날 수 있나요??
부정맥은 전기신호 과정에 문제가 생겨 심장박동이 불규칙한 질환을 말합니다. 부정맥이 생겼을 경우 맥박이 너무 빨라 자신의 심장박동을 느끼게 되고, 가슴두근거림을 호소하게 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혈압이 떨어지면서 전신 무력감이나 어지럼증, 현기증이 동반될 수 있으며, 심장병이 있는 환자에게 발생하는 심실성 부정맥의 경우 돌연사할 수 있습니다.
가슴이 빨리 뛰는 것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가슴이 빨리 뛰는 증상으로 부정맥이 의심될 경우 심전도를 통해 전기적 신호의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하지만 심전도는 2~3초간의 심장의 전기적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병원에 방문했을 때에는 증상이 사라질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하루는 지속적으로 측정해야 하며, 간혹 몇 일에 한 번씩 드믈게 증상이 있는 경우 일주일간 검사하는 간헐적 심전도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가슴빨리뛰는 증상 검사
(파란색으로 되어진 글씨를 클릭하시면 자세한 검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내과적 검사 : 기본혈액소변검사, 심장기능 혈액 검사, 흉부 X선 사진, 심전도, 체성분 분석 검사
심장의 구조적 검사 : 심장초음파
부정맥 종류 검사 :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간헐적 심전도
심장혈관전문 가슴편한내과
심장질환이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막상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마땅히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의학적, 현실적 요구를 반영하여 가슴편한내과에서는 다른 내과의원과 같이 편하게 일반내과진료도 받으시면서 부정맥, 협심증, 판막질환 등의 심혈관질환 문제로 진료받으시는 분들은 편하게 대학병원 수준의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시술이나 수술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가장 유능한 대학병원의 의료진과 연결시켜 드리며 시술이나 수술 후, 다시 본원에서 내과적 치료를 편하게 받으실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