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혈성 심장질환 증상은 무엇일까??
우리 몸의 각 장기는 심장에 의해 적절한 혈액을 공급받아 영양분과 산소를 얻게 됩니다. 이렇게 혈액을 공급해주는 심장이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혈액을 공급받아야 하는데,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혈관을 관상동맥이라고 합니다.
허혈성 심장질환이란??
관상동맥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줌으로써 심장 자체의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입니다. 만약, 이러한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면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해 생기는 질환을 관상동맥질환이라고 하며, 이것이 바로 허혈성 심장질환입니다.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원인은??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원인은 혈관 벽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질이 쌓이는 죽상경화증과 이에 동반된 혈전 때문입니다.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로는 고지혈증, 흡연, 고혈압, 당뇨병, 비만 등이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이 원인이 되는 심장혈관질환은??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장근육으로 혈류 공급에 장애가 생겨 올 수 있는 대표적인 심장혈관질환은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입니다. 협심증은 운동을 하거나 힘든일을 하는 경우, 정신적으로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심장근육의 혈액 요구량이 높아지게 되는데, 관상동맥이 좁아져 심장이 필요로 하는 양보다 부족한 상태가 되어 가슴에 통증을 느끼는 질환입니다. 이때, 휴식을 취하면 심장이 요구하는 혈액랴이 감소하게 되므로 증상이 사라지게 됩니다.
심근경색증은 혈관이 좁아지거나 갑자기 혈전이 생기 이로 인해 심장근육으로 가는 혈류가 완전히 차단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심장근육에 혈액이 30분 이상 공급되지 못하면 해당 부위의 근육세포가 죽게 됩니다. 심장근육 세포가 죽은 부위는 기능을 전혀 할 수 없으므로 심장펌프 기능이 떨어져 심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허혈성 심장질환 증상
관상동맥질환에 의해 심장근육으로 가는 혈류가 적어질 경우 올 수 있는 증상은 가슴통증과 호흡곤란입니다. 가슴통증은 관상동맥질환인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에서 나타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으로, 가슴통증이 있을 경우 심장질환에 의한 증상인지 판단해야 합니다.
호흡곤란은 심장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짐나 그 외의 내과적 질환으로 인하여 심장이 이차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심장 및 폐의 기능을 평가하여 원인을 파악하도록 해야 합니다.
혀헐성 심장질환 진단 절차
0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02. 혈액/소변 검사 및 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03. 심장초음파, 운동부하 심초음파 등의 정밀검사
허혈성 심장질환 검사
1. 심장초음파 검사 : 심장초음파 검사는 인체의 무해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함으로써 심장질환의 진단, 추적관찰 및 향후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2. 운동부하심초음파 : 협심증이 있어 심장혈관이 70% 가량 좁아지기 전까지는 안정시에는 증상이 없거나 모호할 수 있고 일반적인 심장초음파에서 진단이 안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장이 일을 많이 하는 상호아을 인위적으로 만들어야 협심증 진단을 정확히 할 수 있는데 운동부하심초음파는 운동부하검사와 일반 심장초음파와 함께 검사하여 심근벽의 변화, 판막질환의 정도, 심장의 압력변화 등을 직접 확인하여 운동부하검사보다 정확한 검사가 가능합니다.
◆ 가슴편한 내과에서는 이경진 원장(의학박사)님이 직접 진료합니다.
일반내과의 경우 심장질환과 관련되었다고 의심될 경우 바로 상급 의료기관으로 전원이 필요하나, 가슴편한내과에서는 대학병원급 검사시스템 보유를 통해 바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또한 판막질환, 협심증, 부정맥 등의 심장혈관문제로 진료받으시는 분들은 편하게 대학병원수준의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시면서 시술이나 수술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가장 유능한 대학병원의 의료진과 연결시켜 드리며 시술이나 수술 후, 다시 본원에서 내과적 치료를 편하게 받으실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