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이형협심증 증상과 검사
동맥경화와 혈전에 의해 심장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관상동맥이 좁아질 경우 심장근육으로 가는 혈액량이 부족하여 협심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협심증 환자분들은 가슴부위의 통증을 호소합니다.
협심증은 아래와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집니다.
1. 동맥경화증때문에 만성적으로 협착이 되어 생기는 안정형 협심증
2. 동맥경화반에 혈전이 생겨 갑자기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불안정형 협심증
3. 관상동맥이 일시적으로 수축하여 좁아지는 변이형 협심증
세 가지의 협심증 중, 안정형 협심증과 불안정형 협심증의 경우 대부분 동맥경화증에 의해 발생하지만, 관상동맥이 일시적으로 수축하여 좁아져 발생하는 변이형 협심증은 발생원인이 다르다는 뜻의 변이형 협심증이라고 합니다.
변이형협심증이란??
변이형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관상동맥 경련에 의해 관상동맥이 수축하여 관상동맥 혈류가 감소 또는 차단되어 가슴통증 등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변이형협심증 증상
전형적인 협심증의 경우 운동시에만 가슴통증이 나타나는데 비해, 변이형협심증은 주로 관상동맥이 수축되기 쉬운 자정부터 아침 8시 사이에 많이 발생하여 주로 새벽에 자던 중이나 아침 일찍 증상이 집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혹 술을 마신 다음날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도 있으며 보통 증상은 5~10분 이내에 호전됩니다.
변이형협심증의 예후
변이형협심증은 대부분 증상이 나타나도 금방 호전이 됩니다. 하지만 일부 환자들은 심근경색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경련 발생시 심실빈맥이라는 무서운 부정맥이 발생하여 급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심혈관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변이형협심증 검사
가슴통증이 모두 협심증으로 인해 발생하지는 않지만,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피검사, 심전도, 흉부X-ray, 심장초음파, 운동부하검사 등을 시행하여 진단해 볼 수 있습니다.
심혈관전문 "가슴편한내과"
최근 심혈관질환이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막상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마땅히 갈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일반내과의 경우 심장질환을 잘 진료하지 못할 것 같고, 대학병원은 의료진에 대한 정보도 알기 힘들고 예약이 너무 어려우며, 막상 방문해도 시간적, 경제적 기회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이러한 환자분들의 의학적, 현실적 요구를 반영하여 일반내과진료와 함께 심혈관문제가 관련되었을 경우 더 세밀하게 진단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