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판막증의 종류와 원인
우리의 심장 안에는 네 개의 판막이 존재합니다. 판막은 심방과 심실 사이와 심실과 큰 혈관사이에 존재하며, 혈액이 한 쪽 방향으로 흐로고 역류하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합니다.
혈액의 순환 경로
전신 -> 우심방 -> 삼첨판 판막 -> 우심실 -> 폐동맥 판막 -> 폐 -> 좌심방 -> 승모판 판막 -> 좌심실 -> 대동맥판막 -> 전신
심장판막증이란??
판막이 손상을 입을 경우 판막을 통해 혈류이 동이 제한 받게 됩니다. 판막이 닫혀야 할 때 닫히지 않을 경우 혈류가 역류하면서 혈액순환을 정상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심장은 더욱 많을 일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심장판막증이 심할 경우 심장의 효율이 떨어지면서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는 심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심장판막증의 종류와 원인
1. 승모판 협착증
승모판막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하는 판막입니다. 승모판협착증은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혈류의 제한을 받게 되어 좌심실로 가지 못한 혈액이 누적되어 좌심방은 확장되고 폐혈관의 압력도 증가하게 됩니다.
원인 : 승포판 협착증은 어렸을 때 앓은 류마티스열의 합병증으로 판막이 손상된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2. 승모판 폐쇄부전증
승모판막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하는 판막입니다. 승모판 폐쇄부전증이 있는 경우 좌심실의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여 심장의 기능이 점차 떨어지게 됩니다.
원인 : 과거에는 류마티스열이 가장 흔한 원인이였지만, 항생제의 발달로 인해 빈도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최근에는 노령에 따른 승모판막의 퇴행성 변화나 판막이 변형되어 심장 수축시 승모판막이 좌심방쪽으로 밀려나게 되는 승모판막 탈출증이 가장 흔한 원인을 차지합니다. 또한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해서 심장근육의 손상이 일어나거나 심장이 확장되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3. 대동맥판 협착증
대동맥판막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하는 판막입니다. 대동맥 판막이 좁아지는 대동맥판 협착증은 심장에서 온몸으로 혈액이 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장은 더욱 강하게 수축해야 하므로, 심장근육이 두꺼워져 혈액이 자리 잡을 공간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런 과정이 진행되면 심장근육의 탄력성이 줄고 심장 기능의 장애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원인 : 과거에는 대동맥판 협착증의 주요원인은 류마티스열이였지만 현재는 줄어들고 최근에는 젊은사람에게는 대동판막의 선천적인 이상이 주요 원이이며, 노인에게는 심장판막의 칼슘이 침착되어 협착증이 생기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4. 대동맥판 폐쇄부전증
대동맥 판막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하는 판막으로, 대동맥 판막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폐쇄부전증이 있을 경우 대동맥으로부터 심실로 혈액이 역류하게 됩니다. 그 결과 심장은 더 힘껏 더 빨리 수축해야 하므로 시간이 경과되면 심장기능이 저하되는 만성 심부전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원인 : 대동맥 판막은 3개의 첨판이 서로 합쳐 이루어지는데 남자 아이 50명 당 1명, 여자 아이 100명 중 1명의 빈도로 첨판이 두개뿐인 선천성 이상이 있거나 희귀한 유전병인 마판증후군에 의해 판막기능이 떨어져 생기는 겨우가 가장 흔합니다.
가슴편한내과의 심장판막증 진단
0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02. 혈액/소변 검사 및 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03. 심장초음파, 운동부하 심초음파 등의 정밀검사
가슴편한 내과에서의 심장판막증 진료
- 판막질환에 대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를 통하여 최대한 본인 판막 유지
- 풍선교련절제술, 판막성형술, 판막치환술회로술 등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관리
심장전문 순환기내과 "가슴편한내과"
일반 내과의 경우 심장질환과 관련되었다고 의심되는 경우, 바로 상급 의료 기관으로 전원이 필요하나, 가슴편한내과에서는 대학병원급 검사 시스템을 보유하여 바로 진단 후 시술 및 수술 필요시 대학병원과 직접적인 연계가 가능하여 진료예약 등의 시간 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임상교수와 을지대학병원 순환기 내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심장혈관분야 세계 No.1인 미국 메이오 클리닉 혈관센터 Research Fellow를 역임하신 이경진 원장님에게 직접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