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맥경화 증상과 합병증
오랜된 수도관이 이물질이 침착되고 녹이 슬면 그 지름이 좁아지는 것과 같이 혈관 또한 가장 안쪽에 덮고 있는 내막에 콜레스테롤이 침착하고, 내피세포의 증싱이 일어나면 혈관이 좁아지게 됩니다. 혈관의 지름이 좁아지고, 탄력을 잃게 되면 혈관이 확장되기 어려워 혈압이 높아지게 되며, 혈압이 높아지면 심장에 부담을 주어 혈액순환을 어렵게 하고, 가슴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동맥경화증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일까??
동맥경화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동맥경화를 잘 일으키고 진행을 촉진시키는 위험인자는 높은 중성지방, 고혈압, 흡연, 당뇨병, 높은 연령, 운동부족, 과체중 및 복부비만 등이 있습니다.
동맥경화증의 합병증과 증상
1. 협심증
동맥경화 및 혈전에 의해 심장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혈관에 내부 지름이 좁아져 심장근육으로 혈류 공급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으로, 가슴에 발작적으로 조이는 듯한 압박감이 나타나게 됩니다.
협심증은 운동을 하거나 힘든일을 하는 경우, 또는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심장이 더욱 많은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심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심장이 필요하는 양보다 부족한 상태가 되어 가슴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이 때, 휴식을 취하게 되면 심장이 요구하는 혈액량이 감소하므로 증상이 사라집니다.
2. 심근경색증
심근경색은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협착이 일어난 관상동맥에 갑작스런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로 인해 작은 상처가 나면 혈전이 생기면서 심장근육으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심근경색의 주 증상은 가슴통증이며, 심근경색은 휴식을 취하더라도 가슴통증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또한 심장근육에 혈액이 30분이상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심근세포가 죽게 되고, 죽은 심근세포 부위의 기능이 사려지면서 심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나타난지 1시간 이내에 치료를 받지 않게 되면 급사, 또는 심장 돌연사 등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로 병원으로 내원하여 응급처치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3. 말초혈관폐쇄성 질환
동맥경화증이 생겨 혈관이 협착되어 해당 혈관으로부터 혈류를 공급받아야 하는 장기의 기능에 손상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말초혈관폐쇄는 하지동맥에 생기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종종 디스크에 의한 증상과 감별하이 어려울 수 있지만, 하지동맥폐쇄는 걸을 때 증상이 유발되며, 통증이 터지는 듯한 느낌 또는 조이는 느낌으로 디스크 증상과 차이를 갖습니다. 심할 경우 절단 및 사망에 이를 수 있으니 증상이 지속될 경우 검사를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심혈관전문 순환기내과 "가슴편한내과"
일반내과의 경우 심혈관질환이 의심될 경우 상급 의료기관으로 전원이 필요하지만, 가슴편한내과는 대학병원급 검사시스템을 보유하여 심혈관문제가 관련되었을 경우 더욱 세밀하게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임상교수와 을지대학병원 순환기 내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심장혈관분야 세계 No.1인 미국 메이오 클리닉 혈관센터 Research Fellow를 역임하신 이경진 원장님에게 직접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