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한 증세, 숨이 잘 안쉬어져요 |
---|---|
조회수 | 2969 |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호흡은 의식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현상으로 생명을 연장하는데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하지만, 호흡곤란 증상이 있다면 "숨이 찬 증상", "가슴이 답답한 증세", "숨 쉬기가 힘들어요" 등의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며, 공포심을 느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되는데요. 특히 운동시 증상이 있거나, 밤에 누웠을 때 이러한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질환이 심한 경우가 많으므로, 정확한 원인을 파악 후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숨이 잘 안 쉬어져요"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한 증세, 원인은?
호흡곤란의 가장 큰 두 가지 원인은 심혈관 질환과 폐질환입니다. 그 외 흉곽의 기형, 호흡 근육을 침범하는 신경근육 질환, 심한 스트레스, 공황장애 등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01. 심혈관 질환이 원인인 경우 : 호흡곤란은 모든 심혈관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심장 기능이 저하되면서 혈액을 온몸으로 보내는 데 힘겨워하기 때문입니다. 심혈관 질환으로 인해 호흡곤란이 올 수 있는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 허혈성 심장질환 :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생기는 질환(협심증 및 심근경색) - 심장판막질환 : 혈액이 역류하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판막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 - 심근질환 : 심장 근육에 이상이 생겨 심장근육이 늘어나거나,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거나 지방 침착 등이 일어나는 질환 - 심부전증 : 심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상태로, 대부분의 심장질환 말기에 심장 기능이 저하될 때 발생하는 질환
02. 폐질환이 원인인 경우 : 천식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렴, 만성기관지염 등과 같은 폐질환이 있다면 호흡곤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통 폐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호흡곤란 증상과 함께 기침이 동반되며, 처음에는 간헐적으로 발생하다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지속해서 나타나게 됩니다.
- 천식 : 기관지가 좁아져 숨이 차게 되는 질환 - 만성 폐쇄성 폐질환 :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폐 기능이 저하되고 호흡곤란을 유발하게 되는 질환 - 폐렴 : 세균이나 비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해 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 - 만성기관지염 : 2년 연속, 1년에 3개월 이상 가래가 있고 기침이 지속되는 질환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한 증세, 혹시 심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가슴통증과 호흡곤란으로, 호흡곤란 증상이 있다면, 심혈관 질환은 아닐까 걱정을 하게 됩니다. 호흡곤란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하기 어렵습니다.
단,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인 고령,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을 앓고 있거나, 심혈관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라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증상일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검사를 통해 심장의 기능을 평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호흡곤란 증상이 있을 때, 필요한 검사는?
호흡곤란의 가장 큰 원인이 심장질환과 폐질환이기 때문에, 심장초음파 검사를 통해 심장의 구조 및 기능을 확인해보아야 하며, 폐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폐기능 검사가 필요합니다. 또한, 운동 시 나타나는 호흡곤란이나 협심증 및 판막질환 등의 심혈관 질환에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운동부하심초음파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의 호흡곤란 진료
가슴편한내과는 심장 및 혈관과 관련된 질환을 진료하는 순환기내과로, 심혈관 질환이 의심되는 가슴통증, 호흡곤란, 가슴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있다면, 기본적인 내과적 검사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에 대한 정밀 검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호흡곤란의 원인을 찾기 위해 각종 심혈관 질환에 임상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이 대학병원과 동일한 첨단 장비를 사용하여 정확한 검사 및 진단이 가능합니다.
▶ 호흡곤란의 원인이 내과적 문제가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체계적인 관련과를 소개하여, 궁극적으로 환자의 증상을 해결해 줄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 호흡곤란의 원인이 심혈관 질환으로 진단 내려진 경우라면 생활습관 개선(식이요법, 운동요법)을 위한 교육관리, 약물치료 등을 통해 질환을 치료하며,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할 경우 가장 유능한 대학병원과의 협진 의뢰를 통해 진료 예약 등의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