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장판막증과 심장판막증증상
심장은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하는 중요한 부위입니다. 심장의 구조를 살펴보면,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장은 4개의 방과 양측 심실 출구 사이에 판막이 존재하는데 판막은 심장의 이완 수축에 따라 열리고 닫혀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아주는 막입니다.
심장의 순환 구조
전신순환 : 심장 -> 전신 -> 심장
폐순환 : 심장 -> 폐 -> 심장
심장의 구조는 전신순환과 폐순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장은 이완기에 혈액을 채우고, 수축기에 혈액을 한쪽 방향으로 내보내야 하는 심장박동 운동을 하는 부위로, 심장 앞쪽에 연결된 대혈관 사이에 4개의 문을 가지고 혈액의 흐름을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합니다.
심장판막증이란??
심장판막증이란 심장판막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심장판막증은 일반적으로 크게 협착증과 폐쇄부전증으로 나누어지는데 판막협착이란 판막이 좁아져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판막폐쇄부전증은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의 역류가 일어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두가지의 원은은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두 가지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장판막증 증상
심장판막증의 공통적인 증상으로는 심장의 효율이 떨어져 나타나는 피로감과 운동시 호흡곤란입니다. 심장판막증으로 인해서 심장의 기능이 저하되면 조금만 움직여도 맥박이 빨라지는 증상과 호흡곤란이 일어나는데, 이와 별도로 맥박이 불규칙해지고 빨라지는 부정맥이 생기기도 합니다. 부정맥이 생겼을 경우 가슴두근거림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좌심실에서 온몸으로 혈액이 나가는 대동맥 판막이 좁아진 경우에는 온몸으로 나가는 혈액의 흐름이 제약이 생겨 현기증, 실신, 운동시 흉통 등이 좀 더 일찍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장판막증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심장 청진을 통해 판막증이 의심되면 확진과 정확한 이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심장초음파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심장초음파 검사는 환자에게 통증이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판막 이상의 종류와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판막증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검사입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의 심장판막증 진단 절차
0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02. 혈액/소변 검사 및 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03. 심장초음파, 운동부하 심초음파 등의 정밀검사
가슴편한 내과에서의 진료
- 판막질환에 대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를 통하여 최대한 본인 판막 유지
- 풍선교련절제술, 판막성형술, 판막치환술회로술 등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관리
◆ 가슴편한 내과에서는 이경진 원장(의학박사)님이 직접 진료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심혈관질환이 최근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생명과 관련깊은 심혈관질환에 대한 이해부족과 일차의료기간의 심혈관질환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막상 심혈관질환이 걱정되어도 마땅히 갈 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이러한 현실적, 의학적 요구를 반영하여 일반내과진료도 다른 내과의원과 같이 편하게 받으시면서, 판막질환, 협심증, 부정맥 등의 심혈관질환의 문제로 진료받으시는 분들은 대학병원 수준의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시술이나 수술이 꼭 필요한 경우는 선별하여 가장 유능한 대학병원의 의료진과 연결시켜 드리며, 수술이나 수술 후, 다시 본원에서 내과적 치료를 받으실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