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심증증상과 협심증치료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의 관상동맥질환은 현재 우리나라 사망 원인 중 3~4위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질환이며, 지난 20년간 심근경색의 유병률이 5배 가까이 빠르게 증가되고 있습니다. 과거 협심증의 증상이 4~50대 이후에 주로 나타났지만, 현재 젊은 사람들에게서도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협심증이란 무엇인가요??
협심증이란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라고 불리는 혈관이 좁아져 심장 근육으로 원활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협심증 환자분들은 앞가슴이 아프거나 뻐근하게 조여드는 듯한 느낌, 불쾌감, 혹은 짓누르는 듯한 압박이 느껴지는 가슴흉통을 느끼게 됩니다.
협심증일 때 느낄 수 있는 증상은??
협심증이 있으신 분들은 평소 빨리 걷거나 계단을 올라갈 때, 혹은 언덕을 오르거나 물건을 들 때처럼 심장이 많은 일을 해야 되는 경우 흉통을 호소합니다. 이러한 흉통은 활동을 멈추고 안정을 취하면 사라지게 되며, 30초에서 30분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대개는 2~5분 사이로 나타납니다. 만약, 몇 초 정도의 잠깐 아픈 정도의 흉통은 협심증일 가능성이 떨어지며, 30분 이상 지속된다면 심근경색으로 진행되었을 확률이 높으므로 가까운 응급실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협심증일 때 가슴흉통을 느끼는 이유
협심증의 대표증상은 가슴통증으로, 이는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혈관이 좁아져 생기는 증상입니다. 관상동맥이 좁아져 협심증 환자도 휴식 시에는 어느 정도 심장근육에 혈액 공급이 이루어져 가슴통증을 느끼지 않지만, 운동을 하거나 힘든 일을 하는 등의 심장이 더 많은 일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필요한 혈액의 양이 증가되어 가슴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이 때. 휴식을 취하면 심장이 요구하는 혈액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증상이 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협심증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는??
1. 심전도 검사
2. 심장초음파 검사
3. 운동부하검사
4. 운동부하심초음파
가슴편한내과에서의 협심증 진단절차
0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02. 혈액/소변 검사 및 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03. 심장초음파, 운동부하 심초음파 등의 정밀검사
협심증 치료법
협심증 치료는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의 변화로 관상동맥질환이 악화되는 것을 예방하고, 약물치료로 심장의 기능을 개선하여 협심증 증상을 완화시키며, 광상동맥 중재술/관상동맥우회술 등의 치료로 심장근육의 혈액 공급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의 협심증 진료
- 생활습관개선(식이요법, 운동요법)을 위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
- 스텐트시술 및 관상동맥우회로술 등의 치료할 경우는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관리
심장혈관전문 "가슴편한내과"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일반내과진료도 다른 내과의원과 같이 편하게 받으시면서 판막질환, 협심증, 부정맥 등의 심장혈관질환 문제로 진료받으시는 분들은 편하게 대학병원 수준의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시술이나 수술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가장 유능한 대학병원의 의료진과 연결시켜 드리며 시술이나 수술 후, 다시 본원에서 내과적 치료를 편하게 받으실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임상교수와 을지대학병원 순환기 내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심장혈관분야 세계 No.1인 미국 메이오 클리닉 혈관센터 Research Fellow를 역임하신 이경진 원장님에게 직접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