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슴두근거림의 원인과 검사
심장은 늘 뛰고 있지만 일상생활에서 심장박동은 정상인의 경우 거의 느끼지 못합니다. 심장박동이 실제로 느껴질 경우 생활에서 불편감이나 불안감이 나타날 수 있고, 이를 "가슴두근거림" 혹은 "심계항진"이라고 합니다. 가슴두근거림을 느끼는 분들은 심장이 빨리 뛰는 느낌, 심장이 엇박자로 뛰는 느낌, 꿀렁거리는 느낌 등의 다양한 증상을 호소합니다.
가슴두근거림, 원인이 무엇일까요??
가슴두근거림의 경우 심장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그 외 내과적 질환으로 인해 심장이 이차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가슴두근거림의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일반내과적 문제 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문제 등을 종합하여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가슴두근거림 증상이 심장질환에 의한 증상인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심장질환으로 생긴 가슴두근거림의 경우 실제로 부정맥이 존재하는지, 심장의 이상이 동반되는지 검사를 해야 합니다.
가슴두근거림의 대표적인 심장질환, 부정맥
일반적으로 부정맥이라고 하면 심장이 불규칙하게 박동하는 모든 경우를 총칭하는 것으로 크게 빠른 부정맥(빈맥)과 느린 부정맥(서맥)으로 나누며, 각각의 경우에는 여러 종류의 부정맥들이 있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부정맥인지 아는 것이 치료의 시작입니다.
부정맥이 생겼을 경우 비정상적인 심장박동으로 가슴두근거림과 덜컹거림을 느낄 수 있으며, 현기증 및 실신, 피곤함 등을 느낄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의 가슴두근거림 진단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일반적인 내과검사와 심장질환에 대한 정밀검사를 시행하여 특히 부정맥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가슴두근거림 검사
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2. 혈액/소변 검사 및 X-ray, ,심전도 등의 기본검사
3. 심장초음파,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등의 정밀검사
* 부정맥 검사에 특징
매 순간 가슴두근거림 증상이 있다면 심전도로 진단이 가능하지만, 심전도는 2~3초 간의 심장의 전기적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병원에 내원했을 당시 증상이 없어지는 경우가 많아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검사나 간헐적 심전도 검사를 통해 진단해야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슴편한내과의 부정맥진료
- 부정맥에 대한 교육 및 관리
- 약물치료
- 인공심박동기 시술이 필요한 경우 선별, 대학병원 의뢰
- 시술 후 약물치료 및 인공심박동기 관리
심장혈관전문 "가슴편한내과"
가슴편한내과에서는 부정맥, 판막질환, 협심증 등의 심장혈관질환 문제로 진료받으시는 분들이 편하게 대학병원 수준의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시면서 시술이나 수술이 꼭 필요한 경우 가장 유능한 대학병원의 의료진과 연결시켜 드리며, 시술이나 수술 후 다시 본원에서 내과적 치료를 편하게 받으실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임상교수와 을지대학병원 순환기 내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심장혈관분야 세계 No.1인 미국 메이오 클리닉 혈관센터 Research Fellow를 역임하신 이경진 원장님에게 직접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