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장통증, 심혈관질환에 의해 생긴 것일까?
최근들어 심장통증을 호소하며 심장에 이상이 생긴 것은 아닐까 걱정하여 내과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심장통증은 가슴 부위에 나타나는 통증으로, 피부와는 달리 심장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은 아픈 가슴을 한 손가락으로 집어 가리킬 수 없고, 손바닥으로 앞가슴을 덮을 만큼 넓은 부위에 통증을 호소합니다.
가슴부위에는 심장과 허파, 식도 뿐만 아니라 사복부 갈비뼈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심장통증의 원인은 여러가지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가슴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분들을 실제로 살펴보면, 위장관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생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장질환에 의한 가능성도 그 다음으로 높기 때문에 심장병에 의한 증상일 가능성도 놓쳐서는 안됩니다.
심장통증, 심혈관질환에 의해 생긴 것일까??
나이가 많을 경우, 담배를 피우거나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의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 가족 중 심혈관계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라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계 질환으로 심장통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심장이 아픈 증상이 자주 나타나거나 한 번이라도 심하게 몇 분 이상 지속된다면 심혈관계 검사를 받아 심혈관계질환에 의한 것인지 진단을 하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심장통증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심혈관계 위험인자가 없는 20대 초반의 여성에서 나타나는 심장통증과 6심혈관계 위험인자가 이는 60대 남성에게 나타나는 심장통증은 원인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만으로 자세히 어떤 질환에 의한 심장통증인지 진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나이와 증상, 성별, 동반된 심혈관계 위험인자의 여부, 혈압, 청진기를 이용한 흉부 청진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심혈관계질환에 의한 심장통증인지에 가능성을 검토한 후, 검사할 범위를 정해야 합니다.
심혈관계질환의 가능성이 낮을 경우 가슴사진과 심전도 등과 같은 간단한 검사만 시행하게 되며, 심혈관계질환의 가능성이 높을 경우 심장초음파나 운도부하심초음파 같은 정밀 검사를 하게 됩니다.
심장통증 검사
1. 심전도 : 심장박동 때 일어나는 전기적 신호를 전류에 의해 파형으로 기록하여 안정 시 심장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심전도는 각종 내과적 질환의 기본검사로 부정맥,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비대 등의 심잘질환을 진단할 때 필요한 검사입니다.
2. 심장초음파 : 인체에 무해한 초음파를 사용하여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심장질환의 진단, 추적관찰 및 향후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검사이며, 심장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내과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검사입니다.
3. 운동부하심초음파 : 가슴에 심전도 전극을 부착하여 벨트 위에서 운동을 하도록 하여 운동부하검사 전후로 심장초음파를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심근벽의 변화, 판막질환의 정도, 심장의 압력변화 등을 직접 확인하여 협심증, 판막질환, 운동시 호흡곤란에 대해 검사가 가능합니다.
심혈관전문 "가슴편한내과"
최근들어 심혈관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막상 심잘질환이 걱정이 되어도 마땅히 갈만한 곳이 생각나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이러한 환자분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소화기, 호흡기, 신장기 등 일반내과진료도 다른 내과의원과 같이 편하게 받으시면서 심혈관질환이 관련되었을 경우 대학병원급 검사시스템으로 더욱 세밀하게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임상교수와 을지대학병원 순환기 내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심장혈관분야 세계 No.1인 미국 메이오 클리닉 혈관센터 Research Fellow를 역임하신 이경진 원장님에게 직접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