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혈관질환과 관련 질환들은 무엇일까?
여러 내과질환들에서 심장이 영향을 받아 다양한 심장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있지만, 일반적인 내과진료에서는 이를 간과하기 쉽습니다. 환자 입장에서도 좀 더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본인이 치료중인 내과질환과 심장질환과 연관이 있는지에 대하여 의료진에게 문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심장혈관질환과 관련된 질환들은??
- 당뇨 : 당뇨는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인슐린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사질환의 일종입니다. 당뇨의 경우 합병증 및 사망원인 중 대부분이 심장혈관질환에 의한 것이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당뇨를 혈관질환으로 간주하고 치료하는 것이 새로운 트랜드 입니다.
당뇨와 관련된 심혈관질환 : 협심증, 심근경색, 심부전
- 갑상선 기능항진증 : 갑상선 기능항진증은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과다하게 분비되어 갑상선 중독증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 치료하지 않을 경우 갑상선 중독증 (고열, 부정맥, 심부전)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관련된 심혈관질환 : 심방세동 등의 부정맥, 심부전
- 갑상선 기능저하증 : 갑상선기능저하증은 갑상선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잘 생성되지 못해 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저하된 상태입니다. 성인은 심혈관계 합병증이나 신경학적 합병증(혼수,체온저하 및 저혈압)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과 관련된 심혈관질환 : 서맥, 심장이완기장애
- 만성폐쇄성 폐질환 : 유해한 입자가 가스의 흡입에 의해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 점차 기류 제한이되어 폐기능이 저하되고 호흡곤란을 유발하게 되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만성폐쇄성 폐질환 관련된 심혈관질환 : 심방세동 등의 부정맥, 심부전
- 만성 신부전 : 신장의 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될 수 없을 정도로 저하되어 노폐물이 배설되지 않음으로써 거의 모든 장기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만성신부전과 관련된 심혈관질환 : 협심증, 심근경색, 심부전
- 빈혈 : 빈혈은 적혈구가 담당하는 산소공급기능에 장애가 생겨 조직과 세포가 요구하는 산소를 공급해주지 못해 저산소증을 초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빈혈과 관련된 심혈관질환 : 빈맥, 심부전
- 류마티스 관절염 : 다발성 관절염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관절 뿐만 아니라 관절 외 증상으로 빈혈, 건조증후군, 피하 결정, 폐섬유화증, 혈관염, 피부 궤양 등 전신을 침범할 수 있습니다.
류마티스관절염과 관련된 심혈관질환 : 심낭염, 심근염, 빈맥 등의 부정맥, 심부전
- 전신성 홍반성 낭창 : 주로 가임기 여성을 포함한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만성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자가면역이란 면역계가 이상을 일으켜 자신의 인체를 공격하는 현상으로 피부, 관절, 신장, 폐, 신경 등 전신에서 염증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전신성 홍반성 낭창과 관련된 심혈관질환 : 심낭염, 심근염, 판막질환, 신부전, 빈맥 등의 부정맥
심장혈관전문 "가슴편한내과"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일반적인 내과질환으로 내원한 분도 심장혈관질환의 가능성을 놓치지 않기 위하여 항상 노력하고 있습니다. 일반내과 진료도 다른 내과의원과 같이 편하게 받응시면서 심장혈관 문제가 관련되었을 경우 대학병원 수준의 진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