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동부하검사가 필요한 경우는??
운동부하검사는 기본적인 실현관질환 검사와 더불어 협심증 및 뇌졸증 등의 위험성을 체크할 수 있는 검사로, 정밀 심혈관검사가 필요할 경우 시행하게 됩니다.
운동부하검사란??
운동부하검사는 환자의 가슴에 심전도 전극을 부착하고 런닝머신 벨트 위에서 단계적으로 운동의 강도를 올려 운동하도록 하여 혈압과 심박동수 및 심전도의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운동부하검사는 협심증과 부정맥 등의 심혈관 질환을 진단하고 심장병 환자의 운동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운동부하심초음파란??
운동부하심초음파는 운동부하검사 전후로 심장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심근벽의 변화와 판막질환의 정도, 심장의 압력변화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협심증이나 판막질환, 운동시 호흡곤란에 대해 보다 정확한 검사가 가능합니다.
운동부하검사가 필요한 경우는??
- 일반적인 내과적 검사에서 원인이 파악되지 않는 운동시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
- 가슴통증 혹은 호흡곤란 등의 협심증이 의심되는 경우
- 각종 판막질환에서 일반심초음파 소견에 비해 증상이 심한 경우
- 평소 마라톤 등 운동을 많이 하는 분이 심장기능 및 운동능력 평가를 원하는 경우
호흡곤란이 있을 때 운동부하심초음파가 도움이 되는 이유
호흡곤란의 원인 중 하나인 협심증을 진단하는데 여러 검사를 통해서도 호흡곤란의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원인일 수 있는 운동시에만 심해지는 판막기능의 이상, 운동시에만 나타나는 심장내부의 압력상승 등을 진단하는데 운동부하심초음파가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
심장혈관전문 "가슴편한내과"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임상교수와 을지대학병원 순환기 내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심장혈관분야 세계 No.1인 미국 메이오 클리닉 혈관센터 Research Fellow를 역임하신 이경진 원장님에게 직접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일반내과의 경우, 심장질환과 관련되었다고 의심되는 경우, 바로 상급 의료기관으로 전원이 필요하나, 가슴편한내과에서는 대학병원급 검사 시스템을 보유를 통해 바로 진단 후 시술 및 수술 필요시 대학병원과 직접적인 연계가 가능하여, 진료예약 등의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