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가슴두근거림, 심장부정맥 의심! |
---|---|
조회수 | 2067 |
심장이 두근두근 뛰는 것을 실제로 느낄 때, "가슴두근거림 증상이 있다"고 많이 표현하십니다. 이러한 증상이 긴장된 상황이나 운동을 하고 난 후에 나타난다면, 정상적인 현상일 수 있지만, 일상생활에서 이유 없이 발생하는 가슴두근거림은 몸에 이상이 있는지 알아보아야 하는 증상입니다. 보통 가슴두근거림 증상이 있을 경우 심장에 이상이 있지는 않을까 걱정을 많이 합니다. 심장질환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는 증상이지만, 여러 내과적 문제, 심리적인 문제 등도 종합하여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가슴두근거림 원인 가슴두근거림의 원인은 크게 심장이 원인인 경우와 심장 외에 다른 질환이 원인인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심장이 원인인 경우 : 부정맥(심방조기수축, 심실조기수축, 심실빈맥, 심실성상성빈맥), 협심증 및 심근경색 등의 관상동맥질환, 장판막질환, 비후성 심근증 등 * 심장외 질환이 원인인 경우 : 갑상선 기능 항진증, 저혈당증, 불안 등 정신적 문제, 갈색세포종, 고열, 약물 등 가슴두근거림, 심장부정맥 의심해야! 부정맥이란, 심장박동이 불규칙한 모든 질환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맥이 정상보다 느려서 문제가 되는 서맥 부정맥 질환들이 있으며, 빨라서 문제가 되는 빈맥 부정맥, 최근에는 심방의여러 부위가 무질서하게 가늘게 떨고 있는 상태를 말하는 심방세동 부정맥이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심장부정맥이 있으신 분들은 가슴이 두근거린다고 표현하시는 분들이 가장 많습니다. 하지만, 가슴두근거림 증상이 있더라도 한 가지 부정맥은 아닐 수 있으므로, 좀 더 정확한 진단을 위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가슴두근거림,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할까? 먼저 어떤 증상이 있는지 전문의가 들어보고, 일반 내과적 질환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으므로, 기본적인 내과 검사를 합니다. 그 다음 심장에 이상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심장초음파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검사 당시 증상이 있다면, 심전도 검사를 통해 부정맥 진단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하루 동안 지속적으로 심장의 상태를 측정하는 24시간 활동성 심전도 검사 또는 일주일간 검사하는 간헐적 심전도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슴두근거림 증상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는? 가슴두근거림 증상이 있다면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로 부정맥이 존재하는지, 심장의 구조적 이상이 동반되는지 여부를 가려내는 것입니다. 또한, 부정맥 증상은 있다 없다를 반복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이기 때문에, 증상이 있다가 없어진 경우라도, 특히 심혈관계통의 위험인자가 있는 분들은 반드시 검사를 통해 실제 질환이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가슴편한내과의 가슴두근거림 진료 가슴편한내과에서는 가슴두근거림 증상의 원인을 알기 위한 기본적인 내과 검사 뿐만 아니라 심장과 관련이 있다면 대학병원급 검사 시스템을 통해 심장 정밀 검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만약 검사를 통해 부정맥으로 진단이 나왔다면, 부정맥에 대한 교육 및 관리 및 약물치료를 통해 질환을 치료합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임상 교수와 을지대학병원 순화내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심장혈관분야 세계 No.1인 미국 메이오클리닉 심장혈관센터 연구교수로 역임하신 이경진 원장(의학박사)님의 1:1 맞춤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